단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초광각 11mm의 세상 EF 11-24mm F4L USM

Prologue

지금까지 캐논에서 만든 광각 렌즈 라인업 중에 어안 렌즈를 제외하면 이보다 광범위한 화각을 제공하는 렌즈는 없었습니다.
EF 11-24mm F4L USM 렌즈는 수평 방향 약 117°, 대각선 방향 약 126°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한정된 공간에서도 넓게 찍을 수
있으며, 대상에 더욱 다가가 강렬한 원근감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초광각 11mm에서 24mm까지 줌 전체 범위를 고화질로 표현하기
위해 대구경 연삭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고, 최신 코팅 기술인 ASC (Air Sphere Coating)를 적용하여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빛이
들어올 때 반사 방지 효과까지 제공합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200 / 삼각대 고정 >

남산 타워 정상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카메라를 삼각대에 고정하고, 수직 수평을 맞추어 최대한 직선이 왜곡되지 않게 표현했으며,
뒤로는 더 물러날 수 없는 공간이었음에도 공간의 전체적인 뷰를 손쉽게 담아낼 수 있었습니다.

광범위한 장면을 한 컷에 담아내는 초광각 11mm

EF 11-24mm F4L USM 렌즈는 초광각 11mm부터 24mm까지의 화각을 제공합니다.
세계 최고 광각* 11mm 영역에서도 왜곡을 최소화하여 직선을 직선으로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으며, 광활함과 깊이감을 손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초광각 영역의 사진 표현 가능성이 더욱 넓어집니다. * 어안 렌즈 제외. 렌즈 교환식 카메라 (SLR, 미러리스 카메라)용 교환 렌즈 중. 2015년 2월 6일 기준 (캐논 조사)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30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DDP(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낮은 지점에 삼각대를 고정하고, 건축물의 구조를 한 화면 안에 담았습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8.0 / Tv: 1/200s / ISO: 100 / 핸드헬드 >

코엑스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2층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수직 수평을 맞추어 촬영했으며, 중심과 주변부의 묘사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5.6 / Tv: 1/100s / ISO: 400 / 핸드헬드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5.6 / Tv: 1/125s / ISO: 400 / 핸드헬드 >

초광각 11mm 화각은 실내 촬영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뒤로 물러나지 않아도 한 눈에 공간의 규모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8.0 / Tv: 1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초점 거리별 촬영 범위의 변화를 보면 초광각 11mm가 얼마나 넓은 화각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초점 거리별 촬영 범위 변화

초점 거리별 촬영 범위의 변화를 보면 초광각 11mm가 얼마나 넓은 화각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1mm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2mm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4mm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6mm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8mm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20mm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24mm / 삼각대 고정 >

많은 EOS DSLR 사용자가 즐겨 쓰는 16mm와 24mm의 초점 거리가 마치 일반 광각 화각처럼 느껴질 정도로 11mm 화각은 매우
넓습니다.

EF 11-24mm F4L USM 렌즈의 초점 거리 변화를 보기 위해 줌을 해서 촬영한 영상입니다.

■ 11mm와 16mm 촬영 범위 비교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1mm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1mm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1mm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160s / ISO: 100 / 11mm 삼각대 고정 >

공간의 크기를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지하철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이 사진을 보면 11mm의 화각이
얼마나 넓은지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왼쪽과 오른쪽의 지하철 문과 화면 중심의 자리 전체가 한 장면에 표현되는 것만으로도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광각에서는 1mm 차이가 크다고 말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는 사진입니다.

■ EF 16-35mm F2.8L II USM 렌즈와 비교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5.6 / Tv: 1/40s / ISO: 64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6-35mm F2.8L II USM / Av: f/5.6 / Tv: 1/20s / ISO: 6400 / 삼각대 고정 >

아쿠아 플라넷의 메인 수조는 가로 11미터, 세로 6m의 대형 관람창의 규모를 자랑합니다. 메인 수조에서 적당히 거리를 두고
EF 11-24mm F4L USM 렌즈의 11mm 화각과 EF 16-35mm F2.8L II USM 렌즈의 16mm 화각을 비교해 봤습니다. 11mm 화각의
넓이와 왜곡 억제력을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8.0 / Tv: 1/8s / ISO: 4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6-35mm F2.8L II USM / Av: f/8.0 / Tv: 1/8s / ISO: 400 / 삼각대 고정 >

촬영 지점으로부터 TV가 있는 벽면까지 약 2미터 정도의 거리를 둔 가정집의 거실입니다. EF 11-24mm F4L USM 렌즈의
초광각 11mm 화각은 거실 벽면 옆의 작은 방 안까지 한 장면에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내에서 촬영하는 인테리어
사진에서 초광각 11mm는 기존의 16mm 화각으로는 표현할 수 없었던 넓이를 담아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8.0 / Tv: 1/8s / ISO: 10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80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초광각과 고화질을 동시에 갖춘 광학계

EF 렌즈 최초로 ASC 신기술과 렌즈 2개의 면에 SWC*를 적용하여 각종 수차를 최소화합니다. 또한 대구경 연삭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여 줌 전체 범위에서 고른 화질을 자랑합니다.* SWC (Sub WaveLength Structure Coating) 빛의 난반사, 플레어 및 고스트 억제기술

■ 렌즈 구성

대구경 연삭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 총 4매의 비구면 렌즈와 슈퍼 UD 렌즈 및 UD 렌즈를 사용하여 11군 16매로 구성했습니다.
최소 조리개는 f/22이며, 필터는 후부 삽입식, 후드는 고정형입니다. 초광각 L 렌즈답게 특수 렌즈를 아낌 없이 배치했으며, 무게는
약 1,180g으로 무거운 편에 속합니다. 화각은 수평 방향 약 117°10'~74°00', 수직 방향 약 95°00'~53°00', 대각선 방향
약 126°05'~84°00를 지원합니다.

MTF 차트란?

MTF 차트는 이미지의 해상력을 가로축에, 콘트라스트를 세로축에 나타냅니다. 특성은 10라인/mm, 30라인/mm의 공간주파수로
표시합니다. 파란색 실선은 F8로 조인 상태에서 렌즈 성능을, 검은색 실선은 조리개 최대 개방 F4에서의 성능을 나타냅니다.
각 실선 가운데 굵은 선은 10라인/mm을, 가는 실선은 30라인/mm에서의 테스트 수치입니다. 모든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해상력이
뛰어남을 나타냅니다.

제1 렌즈의 연삭 비구면 렌즈는 외경 φ87mm라는 세계 최대 사이즈*를 자랑합니다. 이는 SLR 카메라용 교환 렌즈에 사용된 비구면
렌즈 중 가장 큰 크기이며, 이를 통해 주변부 왜곡을 최소화합니다.* 2015년 2월 6일, 35mm CMOS 센서를 사용하는 DSLR용 렌즈 기준 (어안 렌즈 제외)

■ ASC 코팅 기술

ASC는 Air Sphere Coationg의 약자로 굴절률이 낮은 공기를 코팅 내에 규칙적으로 채워 넣어 초저굴절률막을 형성하는
신기술입니다. 특히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빛이 들어올 때 반사 방지 효과가 뛰어납니다.

■ 각 부 명칭

후드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커스 링과 줌 링은 부드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렌즈 전, 후면에는 불소 코팅이 되어 있어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포커스 링과 줌 링에는 방진 방습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 EF 16-35mm F2.8L II USM 렌즈와 외관 비교

단순히 전체 길이를 보면 작고 가벼워 보이지만, EF 11-24mm F4L USM 렌즈가 약 545g 더 무거우며, 만듦새에서는 두 렌즈 모두
L 렌즈답게 우수합니다.

EF 11-24mm F4L USM 렌즈는 구슬처럼 렌즈 전면이 크게 튀어 나와 있으며, 최대 구경은 약 108.0mm입니다.
(EF 16-35mm F2.8L II USM은 최대 구경 약 88.5mm)

EF 16-35mm F2.8L II USM 렌즈는 전면에 필터를 장착할 수 있는 반면, EF 11-24mm F4L USM 렌즈는 후부에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전용 렌즈 캡은 어안 렌즈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 플레어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250s / ISO: 200 / 삼각대 고정 >

강한 태양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촬영하여 플레어 억제력을 볼 수 있는 사진입니다.
SWC와 ASC 코팅으로 대부분의 촬영 환경에서는 플레어를 보기 힘들지만, 의도적으로 플레어가 나타나게 촬영하더라도 보기 좋은
형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색 수차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4.0 / Tv: 1/1000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최대 개방 F4 조리개 값에서는 색 수차가 조금 보이는 편이지만, 조리개를 한 스톱 조이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최신 EOS DSLR 카메라의 렌즈 수차 보정 기능을 사용하면 색 수차가 크게 억제됩니다.

■ 주변부 광량 저하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가변 / Tv: 1/5000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주변부 광량 저하는 최대 개방 F4 조리개에서 나타나며, 조리개를 한 스톱 조인 F5.6 조리개 값에서 해결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왜곡 억제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8.0 / Tv: 1/250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광각 렌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술통형 왜곡 (배럴 디스토션)은 가장자리의 직선이 곡선처럼 보이는 경우를 말하는데,
EF 11-24mm F4L USM 렌즈는 그 부분을 잘 억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최단 촬영 거리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4.0 / Tv: 1/160s / ISO: 200 / 11mm / 핸드헬드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 Av: f/4.0 / Tv: 1/160s / ISO: 200 / 24mm / 핸드헬드 >

최단 촬영 거리는 11mm 영역에서 약 32cm이며, 24mm 영역에서 약 28cm로 대상에 더 다가가서 원근감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EOS 5D Mark III에 EF 11-24mm F4L USM 렌즈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4.0 / Tv: 1/320s / ISO: 2000 / 핸드헬드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4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 8.0 / Tv: 1/640s / ISO: 2000 / 핸드헬드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4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빛 갈라짐과 빛망울

■ 날카로운 빛 갈라짐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10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조리개의 조임에 따라 선명하고 날카롭게 갈라지는 빛 갈라짐은 야경 촬영에서 필수 요소로 꼽히고 있습니다.
EF 11-24mm F4L USM 렌즈는 f/16 조리개 값에서 매우 날카로운 빛 갈라짐을 보입니다.

■ 원형의 빛망울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4.0 / Tv: 1/60s / ISO: 800 / 핸드헬드 >

9매 날의 원형 조리개 채용한 EMD(Electromagnetic Diaphragm)를 사용하여 배경의 빛망울이 원형에 가깝게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5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8.0 / Tv: 1/160s / ISO: 200 / 핸드헬드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4.0 / Tv: 1/60s / ISO: 3200 / 삼각대 고정 >

EOS MOVIE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4.0 / Tv: 1/125s / ISO: 3200 / 삼각대 고정 >

EF 11-24mm F4L USM 렌즈로 촬영한 아쿠아 플래닛입니다. 초광각 11mm의 화각은 한정된 촬영 위치에서도 큰 피사체를
자연스럽게 기록할 수 있습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2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5.6 / Tv: 1/160s / ISO: 200 / 핸드헬드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5.6 / Tv: 1/200s / ISO: 400 / 핸드헬드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5.6 / Tv: 1/100s / ISO: 200 / 핸드헬드 >

EF 11-24mm F4L USM 리뷰 마무리

지금까지는 없었던 초광각 11mm의 화각은 뷰파인더로 보면서도 믿기 힘든 정도로 넓습니다.
광각 촬영에서의 1mm 차이는 망원에서의 10mm 차이보다 더 크게 느껴지며, 한정된 공간에서 위치 이동이 쉽지 않을 때도 어렵지
않게 한 화면에 담아낼 수 있게 합니다. 또한 3군 줌에 리어 포커스 타입을 사용하고 제1 렌즈에 대구경 연삭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뛰어난 왜곡 억제력을 자랑합니다.
11군 16매의 렌즈 구성에서 특수 렌즈는 무려 5매로 줌 전체 범위에서 고른 화질과 주변부까지 고화질을 표현합니다.
단 하나의 렌즈로 넓은 풍경과 건축, 실내 인테리어까지 고려하고 있다면 EF 11-24mm F4L USM 렌즈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EF 11-24mm F4L USM 렌즈 리뷰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4.0 / Tv: 1/40s / ISO: 8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8.0 / Tv: 1/40s / ISO: 64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16 / Tv: 25s / ISO: 100 / 삼각대 고정 >

< EOS 5D Mark III / EF 11-24mm F4L USM / Av: f/22 / Tv: 15s / ISO: 100 / 삼각대 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