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650d는 캐논의 기술이 집약된 고성능 신 영상엔진 digic 5와 약 1,800만 화소의
cmos 센서를 통해 전 감도 영역에서 고화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신 영상 엔진 digic 5는 digic 4가 탑재된 기종에 비해 약 6배의 빠른 처리 속도를 자랑하기 때문에 사진과 동영상 촬영을 위한 수많은 신기능에도 도움을 준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로는 캐논 dslr 최초로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의 도입과 9개의 af 포인트 전점을 크로스 af로 향상시킨 점이다. 전 기종인 600d와 마찬가지로 회전형 lcd를 기본 탑재했고, 풀 터치 조작을 지원해, 메뉴 조작 및 사진 감상, 터치 셔터를 이용한 촬영까지 촬영의 재미를 배가시킨다. 그럼 eos 650d의 특징에 대해 보다 자세한 리뷰를 통해 알아보자.
eos 650d 제품 기본 구성
형태
디지털, 일안 반사식, af/ae 카메라 (플래시 내장)
기록매체
sd 메모리 카드, sdhc 메모리 카드, sdxc 메모리 카드 * uhs-i 호환
이미지센서 크기
약 22.3 x 14.9 mm
사용 렌즈
캐논 ef 렌즈 (ef-s 렌즈 포함) (35mm 환산 초점 거리는 렌즈에 표기된 초점 거리의 약 1.6배)
렌즈 마운트
캐논 ef마운트
형태
cmos 센서
유효 화소수
약 1,800만 화소
화면 비율
3 : 2
먼지 제거 기능
자동, 수동, 먼지 삭제 데이터 첨부
기록형식
카메라 파일 시스템용 설계 규약(dcf) 2.0
이미지 형식
jpeg, raw (14bit 캐논 독자 방식) raw+jpeg large 동시 기록 가능
기록 화소수
l (large) : 약 17.90 메가픽셀 (5184 x 3456) m (medium) : 약. 8.00 메가픽셀 (3456 x 2304) s1 (small 1) : 약 4.50 메가픽셀 (2592 x 1728) s2 (small 2) : 약 2.50 메가픽셀 (1920 x 1280) s3 (small 3) : 약 350,000 픽셀 (720 x 480) raw : 약 17.90 메가픽셀 (5184 x 3456)
픽쳐 스타일
자동, 표준, 인물 사진, 풍경, 뉴트럴, 충실 설정, 모노크롬,사용자 설정 1 - 3 표현 셀렉트 기능: 분위기를 선택해서 촬영, 조명이나 장면에 따라 촬영
화이트 밸런스
자동, 프리셋 (태양광, 그늘, 흐림, 텅스텐 광, 백색 형광등, 플래시), 사용자 정의 화이트 밸런스 보정과 화이트 밸런스 브라케팅 기능 가능
* 플래시 색온도 정보 통신 가능
노이즈 감소
장시간 노출과 고감도를 사용한 촬영에 적용 가능
자동 이미지 밝기 보정
자동 밝기 최적화 기능
하이라이트 톤 우선
제공
렌즈 수차 보정
주변 조도 보정, 색 수차 보정
형식
아이레벨 펜타미러
시야율
가로/세로 약 95% (아이포인트 약 19mm)
배율
약 0.85x (무한에서 50mm 렌즈로 -1 m-1)
아이포인트
약 19 mm (-1 m-1에서 접안 렌즈 중앙으로부터)
내장 시도 조절
약 -3.0 - +1.0 m-1 (dpt)
포커싱 스크린
고정, 프리시즌 매트
미러
퀵 리턴 타입
피사계 심도 미리보기
제공
형식
ttl 2차 결상 위상차 검출 방식
af 포인트
9개의 크로스 타입 af 포인트(중앙 af 포인트에서 f/2.8 감지 크로스 타입 af)
포커싱 밝기 범위
ev-0.5-18 (23°c 에서 , iso 100)
af 동작
one-shot af, ai servo af, ai focus af
af 보조광
내장 플래시에 의한 연속적인 점멸
측광 모드
63분할 ttl 개방 측광 평가 측광 (모든 af 포인트에 연동) 부분 측광 (중앙에서 뷰파인더의 약 6.2%) 스팟 측광 (중앙에서 뷰파인더의 약 1.5%) 중앙 중점 평균 측광
측광 범위
ev 1 - 20 (23°c, ef50mm f/1.4 usm 렌즈, iso 100)
노출 제어
프로그램 ae (장면 인텔리전트 오토, 플래시 발광금지, 크리에이티브 오토, 인물, 풍경, 클로즈업, 스포츠, 야경 인물, 삼각대 없이 야경 촬영, hdr 역광 보정, 프로그램), 셔터 우선 ae, 조리개 우선 ae, 수동 노출
iso 감도(권장 노출 지수)
베이직 존 모드: iso 100 - 6400 범위에서 자동으로 설정 * 인물사진: iso 100, 삼각대 없이 야경 촬영: iso 100 - 12800 자동으로 설정 크리에이티브 존 모드: iso 100 - 12800 범위에서 수동으로 지정 (1 스톱 단위), iso 100 - 6400 범위에서 자동으로 설정, iso 자동으로 설정 가능한 최대 iso 감도 또는 'h' (iso 25600 에 해당)로 iso 확장 가능
노출 보정
수동: 1/3 또는 1/2 스톱 단위로 ±5 스톱 aeb: 1/3 또는 1/2 스톱 단위로 ±3 스톱 (수동 노출 보정과 조합 가능)
ae 잠금
자동: 초점이 맞았을 때 평가 측광으로one - shot af 모드에서 적용 수동: ae 잠금 버튼 사용
형식
전자 제어식 포컬 플래인 셔터
셔터스피드
1/4000초에서 1/60초 (장면 인텔리전트 오토 모드), 1/200초에서 x -동조. * 광각 렌즈를 사용하면 셔터 스피드가 1/60초 이하가 될 수 있습니다. 1/4000초에서 30초, 벌브 (전체 셔터 스피드 범위.셔터 스피드 범위는 촬영 모드에 따라 달라집니다.)
내장 플래시
자동 팝업 플래시 가이드 no.: 약 13/43 (iso 100, m/ft) 플래시 범위: 약 17mm 렌즈 화각 충전 시간 약 3초 무선 마스터 유닛 기능 제공
외장 플래시
ex 시리즈 스피드라이트 (카메라에서 플래시 기능 설정 가능)
플래시 측광
e-ttl ii 오토플래시
플래시 노출
1/3 또는 1/2 스톱 단위로 ±2 스톱
fe 잠금
제공
pc 단자
없음
드라이브 모드
1매 촬영, 연속 촬영, 10초 또는 2초 지연 셀프 타이머, 10초 지연 연속 촬영
연속 촬영 스피드
최대 약 5 매/초
연속 촬영 매수
jpeg large/fine: 약 22 (30) 매 raw: 약 6 (6) 매 raw+jpeg large/fine: 약 3 (3) 매 * 수치는 8gb 카드를 사용한 캐논 테스트 규격 (iso 100, '표준' 픽쳐 스타일) 기준입니다. * 괄호안의 수치는 uhs-i 호환 8gb 카드를 사용한 캐논 테스트 규격 기준입니다.
타입
tft 컬러 액정 모니터
모니터 크기 및 도트 수
와이드 약7.7cm (3.0형) (3:2), 약 104만 도트
각도 조정
가능
밝기 조정
수동 (7 단계)
인터페이스 언어
25개 언어
터치 스크린 기술
정전용량 감지
기능 안내
표시 가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형식
단일, 단일 이미지 + 정보 표시 (기본 정보, 촬영 정보, 히스토그램), 4매 인덱스, 9매 인덱스, 이미지 회전 가능
줌 배율
약 1.5x - 10x
화면 비율 설정
3:2, 4:3, 16:9, 1:1
포커싱
하이브리드 cmos af 방식* ( + 트래킹, flexizone-multi, flexizone-single), 위상 차 검출 방식(퀵 모드) 수동 포커스(약 5x / 10x 확대 가능) *포커싱 밝기 범위: ev 1-18 (23℃에서, iso 100)
연속 af
가능
터치 셔터
가능
측광 모드
이미지 센서로 실시간 측광 평가 측광(315 분할), 부분 측광(라이브 뷰 화면의 약 8.8%), 스팟 측광(라이브 뷰 화면의 약 2.8%), 중앙 중점 평균 측광
1920x1080 (30p/25p/24p) : 약 330 mb/ 분 1280x720 (60p/50p) : 약 330 mb/ 분 640x480 (30p/25p) : 약 82.5 mb/ 분
포커싱
하이브리드 cmos af 방식* ( + 트래킹, flexizone-multi, flexizone-single) 수동 초점 (약 5x / 10x 확대 가능) *포커싱 밝기 범위: ev 1-18 (23℃에서, iso 100)
측광 모드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평가 측광 및 중앙 중점 평균측광 * 포커싱 모드에 따라 자동 설정
servo af
가능
측광 범위
ev 0 - 20 (23℃, iso 100)
노출 제어
동영상용 프로그램 ae 와 수동 노출
노출 보정
1/3 스톱 단위로 ±3 스톱 (정지 사진: ±5 스톱)
iso 감도 (권장 노출 지수)
자동 노출 촬영: iso 100 - 6400 범위 내에서 자동 설정 수동 노출 : iso 100 - 6400 범위 내에서 자동/수동 설정, h(iso 12800 상당)로 확장 가능
비디오 스냅샷
2초/4초/8초로 설정 가능
녹음
내장 스테레오 마이크 외장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단자 제공 녹음 레벨 조정 가능, 윈드 필터 제공 감쇠기 제공
격자 표시
2 종류
하이라이트 경고
과다 노출된 하이라이트 영역이 점멸
이미지 표시 방식
단일 이미지, 이미지 10매나 100매 점프, 촬영일 점프, 폴더 점프, 동영상 점프, 정지영상 점프, 등급 점프
이미지 회전
가능
등급
제공
동영상 재생
가능 (lcd 모니터, 영상/음성 출력, hdmi out) 내장 스피커
이미지 보호
가능
슬라이드 쇼
모든 이미지, 날짜별, 폴더별, 동영상, 정지영상 또는 등급별 5가지 전환 효과 선택 가능
배경 음악
슬라이드 쇼와 동영상 재생용으로 선택 가능
필터 효과
거친 흑백, 소프트 포커스, 어안렌즈 효과, 유화 효과, 수채화 효과, 토이 카메라 효과, 미니어처 효과
리사이즈
가능
호환 프린터
pictbridge 호환 프린터
출력가능 이미지
jpeg과 raw 이미지
인쇄 명령
dpof 버전 1.1 호환
사용자 정의 기능
8가지
마이 메뉴 등록
가능
저작권 정보
입력 및 저장 가능
음성/영상 출력/ 디지털 단자
아날로그 영상 (ntsc/pal 선택 가능)/스테레오 음성 출력 pc 통신 및 다이렉트 프린트용 (hi-speed usb), gps 수신기 gp-e2 연결
hdmi mini out 단자
c 타입 (해상도 자동 전환), cec 호환
외부 마이크 입력 단자
3.5mm 직경 스테레오 미니잭
리모트 컨트롤 단자
리모트 스위치 rs-60e3 용
무선 리모트 컨트롤
리모트 컨트롤러 rc-6 호환
eye-fi 카드
사용 가능
배터리
배터리 팩 lp-e8 (1개) * ac 전원은 ac 어댑터 키트 ack-e8 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그립 bg-e8 부착 시에는 aa 사이즈/lr6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수명 (cipa 시험 규격 기준)
뷰파인더 촬영 시: 23℃에서 약 440 매, 0℃에서 약 400 매 라이브 뷰 촬영 시: 23℃에서 약 180 매, 0℃에서 약 150 매
동영상 촬영 시간
23℃에서 약 1시간 40분 0℃에서 약 1시간 20분 (완전 충전된 배터리 팩 lp-e8 사용 시)
크기(w x h x d)
약 133.1 x 99.8 x 78.8 mm
무게
약 575 g (cipa 가이드라인), 약 520 g (본체)
작동 온도 범위
0℃ ~ 40℃
작동 습도
85% 이하
형식
재충전 가능 리튬 이온 배터리
정격 전압
7.2 v dc
배터리 용량
1120 mah
작동 온도 범위
충전 시: 6℃ ~ 40℃ 촬영 시: 0℃ ~ 40℃
작동 습도
85% 이하
크기 (w x h x d)
약 37.1 x 15.4 x 55.2mm
무게
약 52g
호환 배터리
배터리 팩 lp-e8
충전 시간
약 2 시간 (23℃ 에서)
정격 입력/출력
정격 입력 : 100 - 240 v ac (50/60 hz) 정격 출력 : 8.4 v dc / 720ma
작동 온도 범위
6℃ - 40℃
작동 습도
85% 이하
크기 (w x h x d)
약 69 x 28 x 87.5mm
무게
약 82g
* 위의 모든 데이터는 캐논의 시험 규격과 cipa (카메라 영상기기 공업회) 시험 규격 및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위에 기재된 크기, 최대 직경, 길이와 무게는 cipa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카메라 바디 무게 제외). * 제품의 사양과 외관은 사전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카메라에 부착된 타사의 렌즈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렌즈 제조사에 문의하여 주십시오.
eos 650d
eos 600d
센서 크기
22.3mm x 14.9 mm 약 1,800만 cmos(aps-c)
22.3mm x 14.9 mm 약 1,800만 cmos(aps-c)
최대 이미지크기
5,184 x 3,456
5,184 x 3,456
raw파일
cr2 포맷 14bit a/d converter
cr2 포맷 14bit a/d converter
이미지 프로세서
digic 5
digic 4
iso
100~12800 (확장(h)25600)
100~6400 (확장(h)12800)
iso 자동
o (최대 400~6400)
o (최대 400~6400)
연속 촬영
초당 약 5매
초당 약 3.7매
파인더 배율
약 0.85배(시계율 약 95%)
약 0.85배(시계율 약 95%)
af 포인트
올 크로스 9af 포인트(중앙 f/2.8 대응, 모든 포인트 f/5.6 대응)
9af 포인트(중앙 f/2.8 대응)
라이브 뷰 지원 (동영상 촬영)
o
o
하이브리드 cmos af
o
x
동영상 서보 af
o
x
비디오 스냅샷
o
o
녹음 레벨
자동, 수동
자동, 수동
녹음 기능
윈드 필터, 감쇠기
윈드 필터
내장 플래시 무선 마스터 기능
o
o
주변부 조도 보정
o
o
색 수차 보정
o
x
필터 효과
총 7개(유화 효과, 수채화 효과 추가)
총 5개
다중 촬영 노이즈 감소 기능
o
x
hdr 역광 보정 모드
o
x
삼각대 없이 아경촬영 모드
o
x
후면 lcd
3.0형 약 104만 도트 회전형 클리어 뷰 lcd ii 터치
3.0형 약 104만 도트 회전형 클리어 뷰 lcd ii
메모리
sd, sdhc, sdxc, eye-fi(무선 sd)
sd, sdhc, sdxc,eye-fi(무선 sd)
배터리
lp-e8(7.2v, 1120mah)
lp-e8(7.2v, 1120mah)
세로그립
bg-e8
bg-e8
무게(배터리제외)
약 520g
약 515g
크기
약 133.1 x 99.8 x 78.8mm
약 133.1 x 99.5 x 79.7mm
eos 650d와 600d의 단순 비교표를 통해 변화된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다.
1. 약 1,800만 화소 aps-c 규격 cmos 센서와 고성능 신 영상엔진 digic 5를 통해
고화질ㆍ저 노이즈를 양립했다. 그 덕분에 자연스러운 색 재현과 세밀한 묘사를 자랑한다. 찍고 싶은 순간을 놓치지 않기 위해 고정밀 af 시스템을 탑재. 캐논 eos dslr 보급기종으로는 최초로 올 크로스 9점 af 센서를 채용. 중앙은 f/2.8 광속 대응, 또한 모든 af
센서가 f/5.6 대응의 크로스 초점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촬영 환경에 능동 대응이 가능하다. 2. 650d의 셔터 유닛과 센서 크리닝 시스템. 3. 650d는 캐논 dslr 카메라 최초로 후면 터치 lcd를 지원한다. 전 기종인 600d의 회전형 lcd를 기본 채용하고 터치 기능까지 탑재해 쾌적한 조작이 가능하다. 터치 기능은 메뉴 조작과 사진 감상에만 적용된 것이 아니라 ‘터치 셔터’ 기능을 통해 사진 촬영까지 가능하므로 터치 기능의 장점을 최대한 살렸다. 4. 총 9개의 af 포인트는 전 기종인 600d와 동일 숫자지만, 하이 아마추어를 만족 시킬만한 9개 전점 크로스 af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보다 빠르고 정확한 초점의 사진 촬영을 돕는다. 전 기종인 600d는 중앙만 f/2.8 크로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큰 차이점이다.
650d는 올 크로스 9af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을 도입했다. 후면 lcd의 터치 기능과 마찬가지로 캐논 dslr 카메라 최초로 적용된 부분이다. 기존의 캐논 dslr 카메라는 라이브 뷰 촬영 시 콘트라스트 af를 이용하면 촬영 대상에 따라 초점을 잡는 속도가 느려지거나, 초점을 잡는 과정에 버벅이는 경우가 빈번했다. 650d에 최초 적용된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은 위치 예측에 유리한 위상차 af를
초점 근처까지 렌즈를 빠르게 구동 시킨 뒤, 콘트라스트 af로 초점을 마무리 하기 때문에
속도면에서 기존의 콘트라스트 af에 비해 개선됐다.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은 센서의 일부 화소를 위상차 af로 사용하고 있고 그 점을 이용해 동영상 촬영 중 ai servo 촬영(연속 af)이나 얼굴 트래킹(추적) 촬영이 가능해졌다.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의 속도 개선 폭은 마운트한 렌즈의 af 속도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 af 속도가 보장된 렌즈를 사용해보면 빨라진 콘트라스트 af 속도를 쉽게 체감할 수 있다.
650d는 고성능 신 영상엔진 digic 5의 빠른 처리 속도와 고정밀 올 크로스 9af 시스템을 통해 초당 약 5매의 연사 속도를 자랑한다. 전 기종 600d는 초당 약 3.7매였던 것에 비하면, 향상된 af 시스템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초당 연사매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650d는 캐논 dslr 카메라의 메인스트림 모델답게 2가지의 새로운 촬영 모드를 추가했다. hdr 역광 보정 모드와 삼각대 없이 아경촬영 모드로 촬영의 폭을 넓힐 수 있다.
650d의 상단 메뉴 구성은 전 기종인 600d에 비해 알아보기 쉽게 구성됐다. 특히 상단 4번째 탭의 로고가 카메라의 뒷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라이브 뷰 관련 설정을 변경할 때 헤매지 않을 수 있게 됐다. 새롭게 추가된 렌즈 수차 보정 설정은 기존에 있던 주변부 조도 보정 기능을 기본 포함하고 색 수차 보정 기능을 추가로 지원한다. 촬영 시 카메라 내부에서 적용하지 않더라도, 최신 dpp를 통해 후 적용 가능하다. 단, raw 촬영 시에만 적용할 수 있다. iso 자동 설정 기능은 전 기종인 600d와 마찬가지로 최대400~6400까지 지원한다. 650d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기능은 빠르게 4장을 연속 촬영 후 합성해서 1장의 저 노이즈 이미지를 얻는 모드이다. raw 촬영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설정이지만, jpg 촬영 시에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다양한 촬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모드 다이얼에 추가된 'hdr 역광 보정' 모드와 '삼각대 없이 야경촬영' 모드는 jpg 위주의 촬영을 하는 사용자들이라면 기다렸을 법한 기능이다.
650d의 전, 후면 디자인은 전 기종인 600d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곡선의 형태가 조금 더 날렵해진 것을 알 수 있다.
650d의 후면 lcd는 약 104만 도트 3.0형 회전형 클리어 뷰 lcd ii 를 채용했다. 더군다나 풀 터치 조작을 지원하기 때문에 회전형 lcd를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됐다.
650d는 사용자를 배려하는 세밀한 변화가 돋보인다. 전 기종인 600d는 라이브 뷰 촬영과 동영상 촬영을 분리해놓은 것은 좋았지만, 모드 다이얼의 마지막 부분이 동영상 촬영 모드였기 때문에 조작에 있어 능동적이지 못했다. 그런 점을 감안해 650d는 전원 버튼 최 상단설정을 동영상 촬영 모드로 변경했다. 전원 버튼 부의 동영상 촬영 버튼의 추가로 사진 촬영에서 동영상 촬영 전환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해졌다. 또한 내장 마이크의 위치 변경과 디자인 개선으로 일반적인 동영상 촬영 시에 보다 나은 음질을 제공한다.
650d는 내장 플래시 마스터 유닛 기능을 통해 외장 플래시를 슬레이브 유닛으로 무선 플래시 구성이 가능하다.
sd 메모리와 전용 배터리 lp-e8, 기본 동봉 스트랩
캐논 dslr 카메라의 보급기종에 속하는 650d는 작은 부피 내에서 최대한 변화를 주는 방법으로, 기존의 곡선 디자인에 날렵함을 더하고 조작 버튼의 개량과 그립감 개선으로 촬영 중심적인 변화를 가졌다.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외부 단자는 모두 동일하다. 자세히 보면 카메라를 잡는 오른손의 그립과 렌즈를 파지하는 왼손의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곳(650d 엠블렘이 위치한 곳)의 디자인 변화로 보다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해졌다.
650d와 600d를 눕힌 상태로 위로 올려다 보면 렌즈 마운트 부분의 디자인이 완벽하게 원형으로 처리됐음을 알 수 있다.
상단에서 내려다 보면 그 차이가 분명하다. 650d는 동영상 촬영의 편의를 위해 전원 버튼 최 상단에 동영상 촬영 모드를 추가했고, 메인 전자 다이얼 좌측의 disp 버튼을 빼고 iso 버튼만을 배치했다. 모드 다이얼의 음각 또한 전 기종인 600d에 비해 조작성을 강조한 변화를 주었다. 전체적으로 살펴본 650d의 디자인은 600d의 장점을 계승하고 촬영을 위한 조작 성능의 개선에 최대한 포커스를 맞추고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부피가 작은 보급기종이라고 할 지라도 이러한 개선점들은 통해 쾌적한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캐논 dslr 카메라 최초로 터치 lcd를 채용했다. 최근 대부분의 사람들이 터치 방식의 스마트 폰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가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
라이브 뷰 촬영 시 lcd 터치를 통한 촬영이 가능하다. 촬영하고자 하는 부분에 터치만 해주면 자동으로 촬영까지 이루어지는 기능으로 회전형 lcd의 장점을 잘 살렸다. 특히 셀프 사진을 촬영할 때 셔터를 누르면서 카메라 전체에 힘이 들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정물 촬영 시에도 손으로 셔터를 누르는 것에 비해 흔들림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터치 af를 이용해서 촬영하는 모습이다. 원하는 곳에 터치만 해주면 자동으로 촬영 되어 흔들림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마치 스마트 폰으로 사진 촬영을 하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무료한 촬영에 재미를 더 해준다.
약 104만 도트 3.0형 회전형 클리어 뷰 lcd ii 는 촬영 뿐만 아니라 메뉴를 비롯한 모든 조작에서 터치를 지원한다. 터치로 조작할 때 반응 속도가 빠른 편이기 때문에 별 다른 무리 없이 설정 변경 혹은 확인이 용이하다.
사진 재생 시 간단한 터치만으로 사진 넘기기와 확대 및 축소를 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사진 감상을 도모한다.
body: eos 650d / lens: ef 24-70mm f/2.8l usm / av: f/9.0 / tv: 1/200s / iso: 100 / picture style: 표준 / alo 설정 범위 전체
alo, '자동 밝기 최적화'는 450d에 최초 적용된 기능이다. 이 후 캐논 dslr 카메라의 전 라인업에 적용되며 alo 기능은 점차 강화됐다. 전 기종인 600d를 시작으로 alo 기능은 단순히 화면 밝기에 영향을 주는 보정 기능이 아닌, 'a+'(인텔리전트 오토)모드를 통해 제대로 된 자동 밝기 최적화 기능으로 거듭났다. 기존 alo 기능과 마찬가지로 설정 범위는 총 4가지로 (해제ㆍ저ㆍ표준ㆍ고)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캐논 dslr 카메라 구입 시 기본 동봉된 번들 소프트웨어 'dpp'(digital photo professional)를 통해 카메라에서 설정하지 않더라도 raw 촬영 후 jpg로 변환 시 후 적용이 가능하다. alo 기능은 하이라이트 톤 우선 모드와 동시에 적용 할 수 없다. 하이라이트 톤 우선 모드를 설정하면 alo 기능이 자동 해제 되므로 alo 기능이 활성화 되지 않을 때는 하이라이트 톤 우선 모드를 해제하면 된다.
하이라이트 톤 우선 모드는 eos-1d mark iii에 최초 적용 후 전 라인업에 추가 된 기능이다. 명부 다이나믹레인지를 원천적으로 상승 시키는 기능은 아니지만, 설정 시 눈에 띄는 명부 복원 효과를 나타낸다. 아래의 하이라이트 톤 우선 모드 적용 예제 사진을 통해 하이라이트 이미지 변화를 살펴보자.
body: eos 650d / lens: ef 24-70mm f/2.8l usm / av: f/2.8 / tv: 1/2500s / iso: 200 / picture style: 표준 / 노출보정+2 * 빨간색 표시된 부분이 화이트 홀
하이라이트 톤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촬영 시 의도적으로 +2ev로 노출 보정을 해서 촬영했다. 위 샘플 이미지를 통해 알 수 있듯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인다. 명부 다이나믹 레인지가 급상승 하진 않았지만, 화이트 홀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촬영 환경에 따라 그 보정 정도는 달라 질 수 있으며, 감도 제한을 통해 iso 100 혹은 확장감도에선 사용 할 수 없다. (iso200~12800까지 지원) 하이라이트 톤 우선모드 적용 여부를 뷰 파인더 하단에 'd+'로 표시하고 있어 오적용을 막을 수 있다. alo 기능에서 설명 드린 것처럼 하이라이트 톤 우선 모드 설정 시 alo 기능을 쓸 수 없다
body: eos 650d / lens: ef 24-70mm f/2.8l usm / av: f/9.0 / tv: 1/200s / iso: 100 / picture style: 표준
body: eos 650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160s / iso: 200 / picture style: 표준
맑은 날씨에 픽쳐스타일 표준으로 촬영한 결과물이다. 촬영 환경과 사용 렌즈 성능 및 바디 세팅 값에 따라 결과물에 차이를 보이겠지만, 650d의 이미지 퀄리티는 별 다른 부족함이 없다.
eos 650d는 총 7스탑의 상용감도를 지원한다. 약 1,800만 화소 cmos 센서(aps-c)와 digic 5 영상엔진을 통해 저ㆍ고감도에서 고른 화질을 도모한다. iso를 auto 설정하면 최대400~6400까지 자동으로 설정된다. 650d로 촬영한 감도 별 테스트 사진을 보며 자세히 살펴보자.
body: eos 650d / lens: ef 24-70mm f/2.8l usm / av: f/8 / tv: 가변 / iso: 가변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기능 ‘표준’
*표시된 부분 100% 크롭 650d의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기능 '표준' 설정은 iso 6400까지 디테일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약 1,800만 화소 cmos 센서와 고성능 신 영상엔진 digic 5을 통해 상용감도 100~12800, 총 7스탑을 지원하며 확장 모드 적용 시 (h)25600을 지원한다. 지원 상용감도 범위 전체가 웹사이트 업로드용으로 무난한 편이다. 단, iso 6400부터는 원본의 100% 이미지를 통해 살펴 보면 컬러 노이즈가 다소 눈에 띈다. 초고감도 촬영은 일반적인 사진 촬영에서 적용되는 영역이 아니므로 빛이 매우 부족한 환경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body: (좌) eos 650d, (우)eos 600d / lens: ef 24-70mm f/2.8l usm / av: f/8 / tv: 1/60s / iso: 6400 / 노이즈 감소 기능 별 적용 / *표시된 부분 100% 크롭
650d의 iso 6400과 600d의 최대 상용감도 6400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다소 차이를 보인다. 650d의 경우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기능의 설정 '해제'부터 설정 최대치인 '강'을 적용한 사진을 봐도 디테일이 살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캐논 노이즈 처리 방식과 다소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노이즈를 처리함에 있어서 이미지가 다소 부드러워졌던 기존에 방식에 비해 노이즈 량은 소폭 증가한 것처럼 보이지만, 노이즈 처리 방식에 있어 디테일을 더 추구 한다고 볼 수 있다. 고성능 신 영상엔진 digic 5의 처리 능력에 상승으로 가능해진 부분이다.
body: eos 650d / lens: ef 24-70mm f/2.8l usm / av: f/8 / tv: 1/60 / iso: 6400 / (좌)노이즈 감소 기능 '고', (우) 다중 촬영 노이즈 감소 기능 적용
650d에 최초 적용된 '다중 촬영 노이즈 감소' 기능은 '삼각대 없이 야경촬영' 모드와 달리 모든 촬영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단, 해당 기능 역시 raw 촬영은 불가능하다. 눈에 띄는 차이점이라면 iso 6400이라고는 믿을 수 없을 만큼 노이즈가 저감되는 점이다.
다중 촬영 노이즈 감소 기능은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기능 설정 메뉴에 들어가면 있다. 해당 기능을 선택하면 촬영 모드의 변경에 따라 설정이 자동 해제 및 전환되는 점을 명시한다. 추가적으로 장기 노출 시 노이즈 감소 기능을 활성화해도 다중 촬영 노이즈 감소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참고해보자.
body: eos 650d / lens: ef 24-70mm f/2.8l usm / av: f/5.6 / tv: 1/100 / iso: 1600 / 다중 촬영 노이즈 감소 기능
*표시된 부분 100% 크롭
다중 촬영 노이즈 감소 기능은 지금까지 캐논 dslr 카메라에 탑재된 노이즈 감소 기능 혹은 노이즈 감소를 도모하는 촬영 모드 중 가장 뛰어난 노이즈 억제력을 보인다.
명암 차이가 큰 장면을 ae 브라케팅 촬영으로 후 보정을 통해 병합하는 것이 아닌, 카메라 내부에서 hdr 역광 보정 모드로 촬영이 가능하다. hdr 촬영은 표준 노출, 노출 부족, 노출 과다, 총 3장의 이미지를 연속으로 촬영해서 자동으로 병합된다.
hdr 역광 보정 기능은 일반적인 촬영 환경에서도 적극 활용해볼 것을 추천한다. 하이라이트와 섀도우 디테일을 향상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두운 실내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밝은 빛이 들어오는 창가 쪽의 하이라이트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raw 촬영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jpg 촬영 파일의 크기 외에는 모든 촬영 값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촬영된다. (* 3장 연속 촬영 후 병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촬영 화각 보다 다소 좁게 나오는 것을 감안해서 촬영해보자.)
삼각대 없이 야경촬영 모드는 캐논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최초 선보였던 기능으로, eos dslr 카메라로는 최초로 650d에 적용된 촬영 모드다. 삼각대를 들고 나오지 않았거나, 간편하게 야경촬영을 해야 할 경우 사용하면 된다.
iso 12800
iso 3200
위의 예제 사진 모두 고감도로 촬영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첫 번째 사진에서는 650d의 최대 상용감도인 iso 12800임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노이즈 억제력을 보인다. 4장을 연속 촬영하여 병합하는 방식으로 hdr 역광 보정 모드와 마찬가지로, raw 촬영이나 수동 촬영에는 적용할 수 없다. 모든 촬영 값이 자동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측광 영역을 기준으로 감도 상향 폭과 조리개, 셔터스피드 등이 극단적으로 변경되는 점을 고려해보자.
eos 650d는 전 기종인 600d와 마찬가지로 스피드라이트 트랜스미터 기능을 지원한다. 외장 액세서리인 무선동조기(st-e3-rt)의 도움 없이 플래시 제어 모드를 통해 무선 플래시 동조가 가능하다. 내장 플래시 기능 설정이 어렵거나 번거로운 분들을 위해 '간단 무선' 기능을 사용하면 손쉽게 무선 플래시 구성이 가능하다.
650d의 내장 플래시 마스터 기능을 통해 외장 슬레이브 플래시 동조 기능을 활용하면 내장 플래시로 표현할 수 없는 라이팅을 연출할 수 있다.
(좌) eos 650d 내장 플래시 직광 / (우) eos 650d 무선 컨트롤러 기능 설정(외장 플래시 speedlite 580exii를 천장 바운스 촬영)
650d의 내장 플래시를 이용한 직광 촬영에서는 부드러운 빛을 표현하기 힘들지만, 내장 플래시 기능을 통해 외장 플래시를 천장 바운스 촬영을 하면
손쉽게 부드러운 이미지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eos 60d에 최초 적용됐던 기능으로, eos 650d에는 사진 촬영 후 카메라 내부에서 총 5가지 필터 효과를 적용할 수 있었다. 650d는 기존에 적용 가능했던 필터 효과 총 5가지(거친
흑백 효과ㆍ토이 카메라 효과ㆍ미니어처 효과ㆍ소프트 포커스 효과)를 기본 포함하고 있고,
2가지의 새로운 필터 효과를 탑재해 표현의 폭을 넓혔다. 추가된 필터 효과는 '유화 효과'와 '수채화 효과'이다.
전 기종인 600d와 동일한 필터 효과 종류 예제 샘플.
필터 효과는 사진 촬영 시 적용되는 기능이 아니다. 촬영 후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총 7가지 필터 효과를 적용 할 수 있다. 필터 효과를 적용하는 과정에 조금의 로딩이 있으며, 적용 시 원본 사진에 덮어 씌우는 형태가 아니라 개별 파일로 저장된다. 한 이미지에 복수의 필터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 다양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650d에 최초로 적용된 '유화 효과'는 심심한 사진에 강렬한 효과를 내고 싶을 때 매우
잘 어울린다. 기름을 사용하는 유화 물감의 특징처럼 재질감이 돋보이는 표현이 가능하다.
'수채화 효과'는 마치 사진 위에 수채화로 덧칠한 느낌으로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드러운 이미지의 사진에 그림 효과를 내고 싶을 때 적용하면 안성맞춤이다.
650d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을 통해 기존 콘트라스트 af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고성능 신 영상엔진 digic 5의 향상된 처리 능력으로 가능해진 부분이며, 라이브 뷰 촬영 시 다양한 af 촬영 모드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시스템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라이브 뷰 기능 중 '퀵 모드'는 미러를 다운시켜 위상차 검출 af를 실시하기 때문에 라이브 뷰 화면이 일시적으로 암전된다. 장점이라면 뷰 파인더 촬영 시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af가 이루어지는 점이다. 새롭게 추가된 멀티 포인트는 총 31개의 af 포인트 내에서 터치
셔터 촬영 혹은 자동 초점 촬영이 가능하다. 싱글로 설정하면 촬영 범위 안에서 원하는
곳에 터치 셔터 촬영 혹은 일반 촬영을 할 수 있다.
싱글 촬영, 멀티, 얼굴 인식+트래킹 촬영까지 라이브 뷰 촬영의 활용 폭을 넓혔다.
650d에 총 3개의 렌즈를 마운트해서 순차적으로 라이브 뷰 촬영을 한 영상이다. 싱글 포인트를 활용했으며 렌즈의 특징에 따라 초점 구동 시 소음 정도와 정숙성, af 속도 등을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첫 번째 사용 렌즈는 ef-s 18-55mm f/3.5-5.6 is ii 렌즈로 초점을 잡을 때 소음이 꽤 있는 편이다. 내장 마이크를 통해 촬영할 경우 불가피하게 녹음 될 수 있는 부분이다. af 속도 면에서도 빠른 편이 아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cmos af의 장점을 살리기에는 다소 부족하다. 두 번째 사용 렌즈는 ef 40mm f/2.8 stm 팬케익 렌즈로 stm 기술의 특징이 돋보인다. stm이란? 'stepping motor'의 약자로 af 작동 시 소음이 획기적으로 줄어 부드러운 af 구동 속도와 정숙성을 자랑한다.
주변 소음이 없는 환경이 아닌, 야외 촬영에서는 내장 마이크라 할지라도 af 구동음이 녹음 되는 것을 걱정하지않아도 된다. af 속도는 빠른 편은 아니지만, stm의 특징을 이용해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세 번째 사용 렌즈는 ef 24-70mm f/2.8l usm 렌즈다. usm 방식은 stm 방식 보다는 소음이 있는 편이지만, af 속도는 가장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usm 방식을 지원하는 렌즈 중에서도 af가 빠른 렌즈가 있으므로, 해당 렌즈 보다 더 빠른 af 속도를 지원하는 렌즈를 사용해서 동영상 촬영을 할 경우에는 동영상 서보 af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해야 할 때는 보유한 렌즈의 af 속도를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
eos 650d의 동영상 서보 af 설정 촬영 영상
eos 600d의 라이브 뷰 af 설정 촬영 영상
650d와 600d에 지원되는 동영상 ‘스냅샷’ 기능을 활용하여 4초 동영상 모드로 설정 후 총 4가지의 피사체를 ef 24-70mm f/2.8l usm 렌즈로 촬영 후 앨범 영상으로 만들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650d의 경우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서보 af와 싱글 af 모두 촬영 과정의 노출 변화가 없기 때문에 설정한 노출 값으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걸 알 수 있다. 하지만 600d의 경우 m 모드로 설정하고 수동으로 동영상 촬영을 하더라도 동영상 촬영 중에 af를 사용하면 초점을 잡는 동안 노출이 바뀌는 과정이 기록되며, 기존 콘트라스트 af의 특징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초점을 다 잡기 전 다시 한번 초점 영역 근처 구간을 반복해서 잡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4초로 설정된 스냅샷 영상에서 밝아진 노출 값으로 4번의 촬영이 모두 종료됐다. 즉, 4초 안에 완전히 초점을 잡지 못했다. 해당 테스트는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의 속도가 과연 개선점이 있는가?”라는 의문점을 가질 수 있는 분들의 의문점을 해소 시켜 드리기 위한 테스트다. 여러 번을 테스트 거치면서 느낀 점은 새롭게 선보이는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의 속도 개선은 분명히 있으며, af가 빠른 렌즈를 사용할 경우 보다 쉽게 체감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더 나아가 위상차 af에 근접할 만한 속도로 발전했으면 한다.
라이브 뷰 촬영 시 얼굴 인식+트래킹 기능을 통해 촬영 구도를 바꾸더라도 인식 했던 얼굴을 트래킹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영상 촬영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eos 650d의 라이브 뷰 촬영은 대폭 개선된 af 시스템을 통해 동영상 촬영 시에도 af 촬영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동영상 녹화 크기는 전 기종인 600d와 동일하며, 비디오
스냅샷 촬영 설정 타임은 전 기종인 600d의 경우 2~8초 동영상으로 설정이 가능했지만,
650d에서는 4초 동영상만 지원한다. 녹음 기능은 기본적으로 자동, 수동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윈드 필터 기능 외에 감쇠기 기능을 추가했다. 신호대비 잡음을 조금 더 완화시킬 수 있다.동영상 서보 af와 동영상 기록중의 셔터버튼
af는 라이브 뷰와 동등한 기능 설정이지만, 표현상의 차이가 있다. (라이브 뷰 일반 촬영에
서는 연속 af와 싱글, 멀티 등으로 구분)
동영상 서보 af 촬영 영상
동영상 기록 중의 셔터버튼 af를 사용한 촬영 영상
*촬영 장소가 매우 시끄러운 관계로 녹음 기능을 해제하고 촬영함.
650d에 ef 24-70mm f/2.8l usm 렌즈를 사용해 촬영했다. 위 샘플 영상을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빨라진 하이브리드 cmos af 시스템을 통해 영상 촬영 중에 수동으로 초점을 잡거나, 서보 af를 통해 촬영 하는 것이 큰 차이 없이 부드럽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세한 차이라면, 원샷을 이용해서 초점을 잡아가며 촬영하는 경우 대상에 초점이 맞았을 때 느낌이 영상에 기록되는 점이다. 서보 af는 계속해서 촬영 대상에 맞춰 af를 진행 하기 때문에 조금 더 자연스럽다. 기존의 캐논 dslr 카메라와 다르게 영상 촬영 시 원샷 af를 이용하더라도 초점을 잡는 동안의 노출 변화는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1920x1080 (30p/25p/24p) : 약 330 mb/ 분 1280x720 (60p/50p) : 약 330 mb/ 분 640x480 (30p/25p) : 약 82.5 mb/ 분
포커싱
하이브리드 cmos af 방식* ( + 트래킹, flexizone-multi, flexizone-single) 수동 초점 (약 5x / 10x 확대 가능) *포커싱 밝기 범위: ev 1-18 (23℃에서, iso 100)
측광 모드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평가 측광 및 중앙 중점 평균측광 * 포커싱 모드에 따라 자동 설정
servo af
가능
측광 범위
ev 0 - 20 (23℃, iso 100)
노출 제어
동영상용 프로그램 ae 와 수동 노출
노출 보정
1/3 스톱 단위로 ±3 스톱 (정지 사진: ±5 스톱)
iso 감도 (권장 노출 지수)
자동 노출 촬영: iso 100 - 6400 범위 내에서 자동 설정 수동 노출 : iso 100 - 6400 범위 내에서 자동/수동 설정, h(iso 12800 상당)로 확장 가능
비디오 스냅샷
2초/4초/8초로 설정 가능
녹음
내장 스테레오 마이크 외장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단자 제공 녹음 레벨 조정 가능, 윈드 필터 제공 감쇠기 제공
격자 표시
2 종류
하이라이트 경고
과다 노출된 하이라이트 영역이 점멸
이미지 표시 방식
단일 이미지, 이미지 10매나 100매 점프, 촬영일 점프, 폴더 점프, 동영상 점프, 정지영상 점프, 등급 점프
이미지 회전
가능
등급
제공
동영상 재생
가능 (lcd 모니터, 영상/음성 출력, hdmi out) 내장 스피커
이미지 보호
가능
슬라이드 쇼
모든 이미지, 날짜별, 폴더별, 동영상, 정지영상 또는 등급별 5가지 전환 효과 선택 가능
배경 음악
슬라이드 쇼와 동영상 재생용으로 선택 가능
650d는 하이브리드 cmos af와 고성능 신 영상엔진 digic 5의 빠른 처리 속도와 회전형 후면 터치 lcd와 다양한 신기능을 통해 동영상 촬영에 있어서도 자유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사용 렌즈: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60s / iso: 400 / picture style: 표준/ m 모드 / mf / f-hd 1920 x 1080, 24fps / 비디오 스냅샷 4초 설정 / 핸드 헬드 촬영
600d에 최초 탑재된 비디오 스냅샷은 간편하고 재미난 기능이다. 마치 스냅사진을 찍 듯 4초간 동영상 기록이 이루어지고 자동으로 멈춘다. 기록된 영상을 앨범으로 저장만 해주면 간편하게 편집한 영상처럼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해당 모드를 설정하고 동영상 촬영 중 앨범에 저장하기 싫은 경우에는 앨범에 저장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된다. 동영상 촬영에 있어 편집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라면 즐겨 사용해봐도 좋을 기능이다.
사용 렌즈: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50s / iso: 3200 / picture style: 표준/ m 모드 / af / f-hd 1920 x 1080, 30fps / 핸드 헬드 촬영
사용 렌즈: ef-s 18-55mm f/3.5-5.6 is ii / av: f/5.6 / tv: 1/400s / iso: 100 / picture style: 표준/ m 모드 / af / hd 1280 x 720, 60fps / 핸드 헬드 촬영
사용 렌즈: ef-s 18-55mm f/3.5-5.6 is ii / av: f/5.6 / tv: 1/400s / iso: 100 / picture style: 표준/ m 모드 / af / hd 1280 x 720, 60fps / 핸드 헬드 촬영
제자리에 머무는 강아지와 움직이는 고양이를 동영상 서보 af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이다. 650d를 구입하는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쓰게 될 렌즈인 ef-s 18-55mm f/3.5-5.6 is ii 렌즈로 촬영했다. af가 빠른 렌즈거나 af 구동음이 조용한 편의 렌즈는 아니지만, 일상 생활에서 동영상 촬영 시에 서보 af를 이용하면 별 다른 무리 없이 연속해서 af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진 촬영에 비해 동영상 촬영은 다소 정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촬영 대상을 연속해서 바꿔가며 롱 테이크로 찍는 것이 아니라면, 동영상 서보 af는 꽤나 유용함에 틀림없다. af 구동 소음이 녹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내장 마이크가 아닌 쓸만한 성능의 외장 마이크를 활용해서 극복하는 방법이 있다.
캐논 eos dslr 카메라에 탑재된 픽쳐 스타일은 각 스타일로 최적화 되어 있으며, 채도와
샤프니스, 콘트라스트를 촬영 목적에 따라 재설정이 가능하다. 주로 jpg를 촬영하는 사용자는 카메라에서 선 세팅 후 촬영하면 된다. raw 촬영을 하는 사용자는 촬영 후 dpp를 통해 픽쳐스타일 종류 및 세팅 값을 변경 할 수 있다. 최신 dpp는 캐논 eos dslr 카메라의
후 처리의 방식을 최대한 따르고 있기 때문에 캐논 고유의 컬러를 재현할 수 있어 raw 촬영 후 픽쳐 스타일 고유의 컬러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os 650d로 촬영한 결과물이다. raw+jpg로 촬영 했으며 해당 원본 jpg를 리뷰 페이지 크기에 맞게 별도의 후보정 없이 축소했다. raw 파일은 dpp(digital photo professional)를 통해 jpg로 변환, 원본 jpg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후보정을 거치지 않았다.
body: eos 650d / lens: ef 40mm f/2.8 stm / av: f/3.5 / tv: 1/250s / iso: 100 / picture style: 표준
body: eos 650d / lens: ef-s 18-55mm f/3.5-5.6 is ii / av: f/5.6 / tv: 1/40s / iso: 800 / picture style: 표준
body: eos 650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160s / iso: 100 / picture style: 표준
body: eos 650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640s / iso: 100 / picture style: 표준
body: eos 650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800s / iso: 100 / picture style: 표준 / dpp를 통해 픽쳐 스타일을 흑백(모노크롬)으로 변경 후 jpg 변환
body: eos 650d / lens: ef-s 18-55mm f/3.5-5.6 is ii / av: f/5.6 / tv: 1/100s / iso: 800 / picture style: 표준
body: eos 650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80s / iso: 3200 / picture style: 표준
body: eos 650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100s / iso: 3200 / picture style: 표준
body: eos 650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25s / iso: 800 / picture style: 표준
eos 650d는 약 1,800만 화소 cmos 센서와 고성능 신 영상엔진 digic 5를 통해 저ㆍ고감도 구분 없이 고른 화질을 자랑한다. 650d의 외관 디자인은 전체적으로는 600d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그림감 개선, 후면 버튼 크기 변화와 모드 다이얼의 변화를 통한 조작감 개선 등 촬영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형태로 다듬어졌다. 전 기종인 600d의 장점을 계승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 캐논 eos dslr 카메라의 메인스트림임을 증명하 듯, 다채로운 신 기능과 회전형 후면 터치 lcd를 통해 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에 폭 넓은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점은 화소의 변화가 없어 아쉬울 수 있는 사용자들을 달래기에 충분해 보인다. 이상으로 eos 650d에 대한 리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