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최신 캐논 DSLR 카메라는 고화소 이미지 센서를 채용하고 있다.
그로 인해 구형 렌즈들의 리뉴얼이 앞다퉈 이뤄져왔고, 최신 EF 24-70mm f/2.8L II 렌즈의 전 모델인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표준 줌 렌즈의 최상위 모델이었지만, 고화소 DSLR 카메라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었다. 그러한 점을 보완해서 리뉴얼된 렌즈가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이다. 경통의 경도와 부품 연결부의 구조 등을 재설계하여 견고하게 마무리됐고, 경량화를 통해 표준 줌 렌즈 다운 면모를 지니게 됐다.
광학계는 수퍼 UD 렌즈 1매와 UD 렌즈 2매, 비구면 렌즈 3매를 채용하여 13군 18매의 광학 구조를 지니고 있다. 최신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리뷰를 통해 알아보자.
EF 24-70mm f/2.8L II USM 렌즈 제품 구성
*실 판매 제품에는 보증서 포함
EF 24-70mm f/2.8L II USM
EF 24-70mm f/2.8L USM
발매 년월
2012년 9월
2002년 11월
초점 거리
24-70mm
최대 개방 조리개
f/2.8
최소 개방 조리개
f/22
렌즈 구성
13군 18매
13군 16매
특수 렌즈
수퍼 UD 1매, UD 2매, 연마 비구면 1매, 비구면 2매
UD 1매, 비구면 2매
필터 구경
82mm
77mm
최단 촬영거리
0.38m
0.38m
최대 촬영배율
0.21배(70mm기준)
0.29배(70mm기준)
조리개날 매수
9매(원형 조리개)
8매(원형 조리개)
USM
링타입 USM
FTM
지원
방진방습 설계
DW-R
외부 접전면 렌즈 불소코팅
지원
미지원
줌 고정 버튼
지원
미지원
구성물
후드(EW-88C), 포치(LP1219), 렌즈캡(E-82U), 리어캡
후드(EW-83F), 포치(LP1219), 렌즈캡(E-77U), 리어캡
최대직경x길이
약 88.5mm x 113.0mm
약 83.2mm x 123.5mm
렌즈 무게
약 805g
약 950g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단순히 외관 디자인의 만듦새만 달라진 것이 아닌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고화질, 경량화를 양립 시켰다. 무게가 무려 약 145g이 감소된 점은 표준 줌 렌즈의 사용 용도에 부합되는 좋은 변화이다. 특수 렌즈의 구성 또한 구형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2,000만 화소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캐논 DSLR 카메라에 잘 어울리는 렌즈로 거듭났음을 알 수 있다.
(1) UD(Ultra Low Dispersion)글래스는 형석 렌즈와 동등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UD 렌즈 2개의 효과는 1개의 형석 렌즈와 동등하다. 형석렌즈의 경우 초 망원 렌즈에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지만, 그 외 종류의 렌즈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이유보다 비용의 문제가 있다. 캐논은 보다 낮은 비용으로 형석에 준하는 특성을 가진 광학 글래스를 개발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1970년대 후반에 UD 광학 글래스를 개발 성공 하였다.
UD 광학 글래스는 우수한 부분 분산 특성을 갖고 있어, 렌즈 구성에 적절히 조합하면 최고의 화질을 도모한다. 더불어 수퍼 UD 렌즈는 1개 만으로도 형석 렌즈와 동등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광학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다.
(2) AL(Aspherical)비구면 렌즈는 구면 수차로 인해 빛이 한점으로 모이지 않고 주변부로 흩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덕분에 보다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유일한 단점이라면 구면 렌즈에 비해 제조 단가가 높다는 점이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에는 연마 비구면 렌즈 1매와 비구면 렌즈 2매, 총 3매의 비구면 렌즈가 채용되어 광학 성능에 있어 부족함이 없다.
(3) USM(Ultrasonic Motor)은 초음파 모터를 뜻한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에는 링타입 USM이 채용됐다. 링타입 USM의 특성은 감속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구동이 가능하며, 회전을 멈추게 하는 브레이크 작용의 효율성이 뛰어나 순간 대응이 능동적이다. 또한 구조가 단순해서 경통에 딱 맞는 최적 비율로 배치 될 수 있다. 시작과 정지의 반응성, 소음이 거의 없는 정숙성, 전력소모가 적은 점, 회전 속도가 빠른 장점을 지닌다.
(4) FTM(Full Time Manual Focusing)은 풀타임 기계식 매뉴얼 포커스 메커니즘을 뜻한다.
오토포커싱 중에도 매뉴얼포커스를 겸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초점을 의도할 수 있다.
풀타임 매뉴얼 포커싱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포커싱 회전량에 따라 위치를 전자식 수동 포커싱이 감지해서 구동되는 방식과 기계식 수동 포커싱으로 포커싱 링의 회전 위치에 따라 초점을 기계식으로 조절하는 방식이다.
(5) I/R(Inner/Rear Focusing)는 내, 후부 포커싱 시스템을 일컫는 말이다.
내부 포커싱 렌즈는 조리개 앞부분에 포커싱 렌즈군이 위치하고, 반면 후부 포커싱 렌즈는 조리개 뒤쪽에 포커싱 렌즈군이 자리한다. 두 가지 포커싱 모두 포커싱 렌즈군을 축소 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오토포커스 시 작동 장치에 부담을 현저히 줄인다. 그 결과 정숙하고 빠른 오토포커스가 가능하고 렌즈 자체가 회전 하지 않으므로 원형 편광 필터나 젤라틴 필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 CA (Circular Aperture)는 보다 자연스러운 배경 흐림에 효과적인 원형에 가까운 조리개를 뜻한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EMD(Electromagnetic Diaphragm)를 탑재하여 배경 흐림 영역이 원형에 가깝게 흐려짐에 따라 보다 자연스러운 배경 흐림을 보여준다.
(7) DW-R(Dust and Water Resistant Constricion)은 방진방습 구조가 채용된 렌즈를 뜻한다. 스위치 패널과 다른 외부기관들의 이음새를 방진/방습 기능을 하는 고무 재질로 견고하게 처리한다. DW-R가 적용된 렌즈를 사용하면 악천후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다. 단, 렌즈를 지나친 습기에 방치하는 것은 좋을게 없다.
(8) 불소 코팅 처리된 부분은 외부와 접하는 전, 후면 렌즈면에 있다. 실제 테스트를 해보면왠만해서는 이물질로 오염되지 않는다. 그만큼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최신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에 적용된 다양한 고급 기술들을 살펴봤다.
표준 줌 렌즈의 최상위 모델 다운 변화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최신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디자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의 투박한 디자인과 달리,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최신 캐논 EF 렌즈의 디자인을 따르고 있다. 전체적으로 군더더기 없는 형태로 마무리된 디자인이다. 무엇보다 렌즈의 줌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전체 길이가 짧아졌으며, 줌 조작 시에도 전체 길이가 구형에 비해 짧아진 점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표준 줌 렌즈라는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변화이며, 특히 줌 락 버튼을 추가하여 경통의 흘러내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점은 좋은 변화이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구경에도 변화를 가졌다.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77mm인 것에 반해, 82mm로 더 큰 구경을 지녔다. 또한 렌즈 전, 후면에 불소 코팅을 처리하여 왠만해서는 오염이 되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DW-R 기능 역시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에 비해 더 단단한 느낌이며, 이러한 점은 실제 만듦새가 나아졌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경통의 길이 변화가 망원에서 광각으로 옮겨질 때 나타났기 때문에 대형 후드를 통해 렌즈가 나오는 부분을 가릴 수 있는 장점이 있었지만, 렌즈를 구성할 때 광각에서는 들어가고 망원에 나오는 것이 보다 나은 구조라고 볼 수 있다. 줌 방식의 변화로 한결 작아진 후드를 지원한다.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에 비해 경통이 약간 길게 나오는 줌 영역은 50mm가 유일하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최대 망원 70mm와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의 최대 광각 24mm의 경통 길이를 보면 확실하게 신형에서 소형, 경량화가 이뤄진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스크래치가 잘 나고 부피가 컸던 기존의 후드와 달리, 신형 후드는 스크래치에 강하고 부피가 줄어들어 표준 줌 렌즈의 후드로써 안성맞춤이다. 또한 탈, 부착 버튼을 지원해 한결 편리해졌다.
최신 DSLR 카메라 EOS 5D MarkIII에 마운트한 모습이다. 길이가 줄어든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밸런스가 더 좋아 보이며, 실 사용 시에도 그러한 점을 느낄 수 있다.
앞서 다뤘던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특징을 보다 쉽게 텍스트로 정리한 내용이다. 참고해보자.
(1) 구형에 비해 견고해진 만듦새
(2) 구형에 비해 짧아진 렌즈 길이 (최대 줌을 사용하여도 역시 짧다)
(3) 구형에 비해 촘촘해진 고무링
(4) 구형과 달리 망원으로 갈수록 경통이 나오는 구조
(5) 구형에 없던 줌 락 버튼을 통해 경통의 흘러내림을 미연에 방지
(6) 구형의 77mm 구경에서 82mm로 대구경화
(7) 구형에 비해 길이는 약 10.5mm 축소, 무게는 약 145g 축소
(1)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13군 18매로 특수 렌즈 구성은 다음과 같다.
*수퍼 UD 1매, UD 2매, 비구면 3매 총 6매의 특수 렌즈 채용
(2)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UD 1매, 비구면 2매로 총 3매의 특수 렌즈 채용
(3) 최신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구형에 대비해서 특수 렌즈를 집중 시켜 최상급으로 광학계를 구성
최신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디자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0 / Tv: 1/250s / ISO: 100 *삼각대 고정
풀프레임 센서를 사용하는 EOS 5D MarkIII에 마운트해 촬영했다. APS-H(1:1.3, 1D 라인) 혹은 APS-C(1:1.6,보중급기 라인)의 크롭센서를 사용하는 DSLR 기종에서는 크롭 배율 만큼 곱해진 화각으로 촬영되는 점을 참고해보자.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최대 개방 이미지의 배경 흐림 정도를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00s / ISO: 100 / Focal Length: 61mm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500s /
ISO: 100 / Focal Length: 61mm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400s /
ISO: 200 / Focal Length: 70mm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00s /
ISO: 200 / Focal Length: 70mm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배경 흐림을 보면 굉장히 부드럽게 묘사됨을 알 수 있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f/2.8 최대 개방 값의 최단 거리 촬영 이미지의 배경 흐림 정도를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800s /
ISO: 100 / Focal Length: 24mm *최단 거리 촬영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50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최단 거리 촬영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최단 거리 0.38m를 지원한다. 최대 광각 24mm와 최대 망원 70mm에서 동일한 최단 거리를 지원하기 때문에 근거리 촬영에서 배경 흐림을 강조할 수 있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조리개별 선예도(혹은 해상력)를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0 / Tv: 1/250s /
ISO: 100 / Focal Length: 50mm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7.1 / Tv: 1/320s /
ISO: 200 / Focal Length: 24mm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0 / Tv: 1/200s / ISO: 100 / Focal Length: 38mm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32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7.1 / Tv: 1/50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로 촬영한 다양한 줌 영역과 조리개 값의 선예도를 살펴봤다. 원거리 촬영과 근거리 촬영 구분없이 우수한 화질을 자랑한다.
그럼,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와 비교 테스한 샘플 사진을 통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EF 24-70mm f/2.8L USM / Av: f/가변 / Tv: 가변 / ISO: 100 / 최대 광각 24mm *삼각대 고정
*표시 영역 100% 크롭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줌 전역에 고화질을 구현하기 위해 특수 렌즈, 즉 최상급 렌즈를 아낌없이 구성했다. 그 결과, f/2.8 최대 개방에서부터 중앙, 주변부 화질이 차이가 두드러진다. 특히 주변부 화질은 그 차이가 확연하게 보여진다.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최대 광각에서 f/2.8 최대 개방 촬영 시 중앙, 주변부의 화질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고, 리뉴얼된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f/2.8 최대 개방에서도 주변부 화질이 좋은 점을 알 수 있다. 눈에 띄는 개선점이다.
*표시 영역 100% 크롭
f/2.8 최대 개방 값에서 한 스탑 조인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결과물과 세 스탑 조인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의 결과물 차이는 놀라운 수준이다.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충분히 조인 f/8의 조리개 값에서도 주변부의 화질이 고르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한 스탑만 조여도 주변부의 화질이 중앙부 못지 않게 좋은 화질을 보여준다.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EF 24-70mm f/2.8L USM / Av: f/가변 / Tv: 가변 / ISO: 100 / 최대 망원 70mm *삼각대 고정
*표시 영역 100% 크롭
최대 망원 70mm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f/2.8 최대 개방 값에서 중앙, 주변부 구분없이 고른 화질을 보여준다. 반면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중앙부에서는 그럭저럭 괜찮지만, 역시 주변부의 화질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시 영역 100% 크롭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두 스탑을,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세 스탑을 조인 결과물을 비교해봐도 마찬가지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중앙, 주변부 모두 고른 화질을 보여주고 있지만,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주변부의 화질이 조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화질이 구형에 비해서 상당히 나아졌음을 알 수 있고, 고화소 DSLR 카메라를 쓰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표준 줌 렌즈임에 틀림 없다.
Body: EOS 5D MarkIII / Av: f/2.8 / 최대 광각 Tv: 1/3200s & 최대 망원 Tv: 1/2000s / ISO: 100 *삼각대 고정
비네팅 현상이란, 사진 영역 가장자리를 통해 렌즈로 들어오는 광선이 부분적으로 조리개 앞, 뒤의 렌즈 프레임에 가려, 모든 광선이 유효 구경을 통과하지 못하여 이미지 주변영역에 광선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걸 말한다. 이런 현상은 조리개를 조여 주면 방지 할 수 있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와 구형 렌즈를 보면 비슷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최대 개방에서는 다소 비네팅이 보여지며, 한 스탑만 조여주면 저감 시킬 수 있다.
최신 캐논 DSLR 제품의 경우 주변부 조도 보정 기능을 통해 저감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와 구형 EF 70-200mm f/2.8 L IS USM 렌즈의 플레어에 대해서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16 / Tv: 1/800s / ISO: 100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18 / Tv: 1/250s / ISO: 100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7.1 / Tv: 1/500s / ISO: 100
플레어가 발생하는 느낌이 좋아 역광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들이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플레어 억제력은 좋은 편이지만, 의도적으로 강한 빛을 렌즈를 정통하게 했을 때는 플레어를 피할 수 없다.
플레어 현상이란, 렌즈 경통 내부, 카메라 미러 박스의 내부 벽에서 반사된 빛이 센서에 도달하여 이미지의 일부분이나 전체의 선명도를 저해하는 걸 말한다.
위 테스트 샘플 이미지를 보면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와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의 플레어 억제력은 비슷해 보이지만, 어느 정도의 개선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이미지의 콘트라스트가 떨어진 쪽이 구형의 결과물이다. 하지만 태양광을 완전히 동일 하게 비출 수 없는 관계로 약간의 편차가 존재 할 수 있다. 아무리 플레어가 잘 억제된 렌즈라도 발생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면 나타날 수 밖에 없는 현상이기에, 의도적으로 연출하는게 아니라면 촬영 시 주의하자.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색수차에 대해서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25s / ISO: 800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640s / ISO: 100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색수차 억제력은 우수한 편이다.
수퍼 UD 1매와 UD 2매를 통해 색수차 증상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Body: EOS 5D MarkIII / Av: f/2.8 / Tv: 1/640s / ISO: 100 *삼각대 고정
동일 조건에서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와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를 비교해봤다. 결과는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색수차 억제력이 향상 됐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광학계의 성능 향상이 결과물에 반영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빛망울에 대해서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25s / ISO: 400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구형과 마찬가지로, 원형 조리개를 채용하고 있다.
배경 흐림에서 빛 망울이 원형에 가깝게 표현되기 때문에 보기 좋은 배경 흐림을 얻을 수 있다.
Body: EOS 5D MarkIII / Av: f/2.8 / Tv: 1/5s / ISO: 100 *삼각대 고정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와 구형 EF 24-70mm f/2.8L USM의 빛망울은 큰 차이가 없다. 단, 차이점이라면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는 9매의 원형 조리개이며,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는 8매의 원형 조리개를 지원한다.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빛 갈라짐에 대해서 알아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16 / Tv: 15s / ISO: 100 *삼각대 고정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16 / Tv: 30s / ISO: 100 *삼각대 고정
대부분의 DSLR 카메라 사용자들은 야경 촬영 시 조리개 조임에 따라 날카롭게 갈라지는 빛 갈라짐을 선호하는 편이다. 특히 선호하는 조리개 값이 빛 갈라짐이 가장 명확하고 화질이 유지되는 f/16을 꼽곤 한다. f/16에서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빛 갈라짐은 EF 16-35mm f/2.8L II USM 렌즈와 닮아 있다. 빛 갈라짐이 날카롭고 선명하기로 유명해 야경 촬영에 인기를 끄는 렌즈다.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와 비교해보면 확실하게 차이가 나며, 야경 촬영에도 잘 어울리는 렌즈로 거듭났다.
EOS 5D Mark III와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로 촬영된 동영상 샘플이다.
감상해보자.
총 35장의 샘플 사진들은 EOS 5D Mark III와 EF 24-70mm f/2.8L II USM 렌즈로 촬영된 무보정 리사이즈 결과물이다. RAW 파일로 촬영된 사진으로, 카메라에서 최초 설정된 픽쳐 스타일 모드가 jpg 변환 시 변경된 사진을 포함하고 있다. (흑백 사진의 경우 jpg 변환 시 변경된 사진) 그럼,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샘플 사진들을 감상해보자.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00s / ISO: 2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40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50s / ISO: 4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0 / Tv: 1/250s / ISO: 2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11 / Tv: 1/320s / ISO: 200 / Focal Length: 24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25s / ISO: 4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Monochrome(흑백)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00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0 / Tv: 1/160s / ISO: 100 / Focal Length: 24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1250s / ISO: 100 / Focal Length: 33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250s / ISO: 100 / Focal Length: 50mm / Picture Style: Portrait(인물)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7.1 / Tv: 1/125s / ISO: 100 / Focal Length: 24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50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Portrait(인물)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00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50s / ISO: 100 / Focal Length: 38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500s / ISO: 100 / Focal Length: 42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00s / ISO: 4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Portrait(인물)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16 / Tv: 1/1000s / ISO: 100 / Focal Length: 24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640s / ISO: 100 / Focal Length: 24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40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16 / Tv: 10s / ISO: 100 / Focal Length: 50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16 / Tv: 30s / ISO: 100 / Focal Length: 24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500s / ISO: 100 / Focal Length: 67mm / Picture Style: Monochrome(흑백)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0 / Tv: 1/640s / ISO: 100 / Focal Length: 35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0 / Tv: 1/320s / ISO: 100 / Focal Length: 45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100s / ISO: 800 / Focal Length: 24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00s / ISO: 4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00s / ISO: 2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0 / Tv: 1/640s / ISO: 200 / Focal Length: 24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400s / ISO: 100 / Focal Length: 31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25s /
ISO: 2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400s / ISO: 2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Landscape(풍경)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640s / ISO: 200 / Focal Length: 47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5.6 / Tv: 1/1600s / ISO: 200 / Focal Length: 50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640s / ISO: 1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Body: EOS 5D MarkIII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50s / ISO: 200 / Focal Length: 70mm / Picture Style: Standard(표준)
구형 EF 24-70mm f/2.8L USM 렌즈가 출시한 지 10년 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캐논의 DSLR 카메라는 2천만화소대의 고화소 모델이 거듭 등장했고, 그로 인해 표준 줌 렌즈의 최상위 모델이었던 EF 24-70mm f/2.8L USM 렌즈의 광학 성능에 아쉬운 부분이 발생했다. 2012년 9월, 드디어 최신 EF 24-70mm f/2.8L II USM 렌즈가 출시 됐고, 고화소 DSLR 카메라를 제대로 누릴 수 있는 광학 성능과 만듦새 그리고 표준 줌 렌즈의 용도에 맞는 경량화를 이뤄낸 점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고화소를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광학계에 특수 렌즈를 아낌없이 적용한 부분은 가장 큰 장점으로 꼽을 수 있으며, 실제 테스트 결과에서도 중앙, 주변부 화질이 f/2.8 최대 개방 값에서부터 상당히 우수했으며, 그 덕분에 줌 전역에서 고화질을 얻을 수 있게 됐다.
더불어 표준 줌 렌즈 답지 않은 부피와 무게를 자랑했던 구형과 달리, 표준 줌 렌즈라는 특성을 인식하고 대폭 경량화된 무게는 반가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이상으로 최신 EF 24-70mm f/2.8L II USM 렌즈의 리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