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6D 리뷰 2편은 이미지 관련 기능과 특징, 6D에만 존재하는 내장 Wi-Fi와 GPS 기능의 활용 방법을 다룬다. 최 장점인 Wi-Fi 설정 방법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6D를 구입한 사용자분들은 참고해보자.
EOS 6D는 모드 다이얼의 SCN 모드를 통해 다양한 장면에 대응한다.
DSLR 카메라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에게 어울리는 모드다. SCN 모드의 다양한 촬영 기능을 알아보자.
모드 다이얼을 SCN 모드로 설정
퀵 컨트롤 다이얼 [Q] 버튼 누르기
모드 다이얼의 SCN 모드를 선택, 퀵 컨트롤 다이얼인 [Q] 버튼을 누르면 활성화 된다.
SCN모드는 다양한 촬영 환경에 맞는 자동 설정을 지원하고 있다. SCN모드에 HDR 역광 보정 모드를 기본 지원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노출차를 조절하여 HDR 촬영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SCN모드 외 Menu에 있는 HDR 촬영 모드를 권장하는 바다.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5.6 / Tv: 1/40s / ISO: 10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삼각대 없이 야경 촬영 모드 적용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5.6 / Tv: 가변 / ISO: 64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삼각대 없이 야경 촬영 모드 적용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5.6 / Tv: 1/30s / ISO: 3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삼각대 없이 야경 촬영 모드 적용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5.6 / Tv: 1/100s / ISO: 64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삼각대 없이 야경 촬영 모드 적용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5.6 / Tv: 1/40s / ISO: 80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삼각대 없이 야경 촬영 모드 적용
삼각대 없이 야경 촬영 모드를 통해 총 4장의 이미지를 연속 촬영한 사진이다. 카메라 내에서 자동으로 병합하여, 일반적인 고감도 촬영 보다 노이즈 저감 수준이 뛰어나다.
어두운 환경에서 삼각대가 없거나, 고감도 노이즈가 우려될 때 사용하면 손쉽게 저 노이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모드 다이얼을 CA 모드로 설정
DSLR 카메라 초보자를 위한 모드다.
완전 자동 모드를 선호하지 않는 분들에게 권할 만한 기능으로 두 가지의 레버를 통해 간편하게 촬영이 가능하다.
퀵 컨트롤 다이얼 [Q] 버튼 누르기
퀵 컨트롤 다이얼인 [Q] 버튼을 누르면 활성화 된다.
배경의 흐림과 선명도(심도), 화면의 어둡기와 밝기(노출)를 손쉽게 설정 가능하다. 화면의 색 온도 설정도 별 다른 어려움 없이 설명을 보고 설정 후 촬영하면 된다.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80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 CA 모드 '흐림'(최대치)
배경을 흐림으로 두었을 때, 아웃 포커싱이 강조된 심도가 얕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7.1 / Tv: 1/40s / ISO: 32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 CA 모드 '선명'(최대치)
배경을 선명으로 두었을 때, 심도가 깊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위의 배경 흐림 강조 사진 보다 배경 영역에서 심도가 깊어 진 것을 알 수 있다.
EOS 5D Mark III를 시작으로 캐논 DSLR 카메라는 다중 노출 촬영을 지원한다. 현재 다중 노출 촬영을 지원하는 기종은 1D X, 5D Mark III, 6D 총 3가지 모델이다. 다중 노출 제어 기능은 증가, 평균 총 2가지로 촬영자의 의도에 맞게 설정 가능하다. 다중 노출 수는 2장에서 9장까지 지원한다. 9장으로 다중 노출 병합된 이미지를 다중 노출용 이미지 선택을 통해 다시 사용할 수 있어 다채로운 표현이 가능하다.
다중 노출 '증가'로 2장 촬영
다중 노출 결과물
다중 노출 '증가'로 2장 촬영
다중 노출 결과물
다중 노출 제어 '증가'는 촬영한 이미지의 명암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다.
촬영 시 설정된 노출을 그대로 반영해 겹쳐서 처리함으로써 겹치는 부분의 노출이 2배로 밝아진다. EOS 6D의 다중 노출 기능은 이미지를 겹치는 것을 말하며, 필름의 노출량을 겹치는 다중 노출과는 차이가 있다.
다중 노출 '평균'으로 2장 촬영
다중 노출 결과물
다중 노출 '평균'으로 2장 촬영
다중 노출 결과물
다중 노출 제어 '평균'은 촬영한 이미지 밝기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 이미지 노출 차이를 반영해 겹쳐서 처리한다. 겹치지 않은 부분의 노출은 어둡게, 겹친 부분은 동일 노출로 표현한다.
EOS 5D Mark III를 시작으로 6D에도 HDR 기능을 지원한다.
명암 차이가 큰 장면을 AE 브라케팅 촬영 후 PC에서 후 작업을 통해 병합하는 것이 아닌, 카메라 내부에서 HDR 모드로 촬영 후 병합이 가능하다. HDR 촬영은 표준 노출, 노출 부족, 노출 과다, 총 3장의 이미지를 연속으로 촬영해서 자동으로 병합된다. 메뉴 구성을 보면, D.레인지 조절을 통해 자동 혹은 ±1~±3EV로 설정할 수 있다. HDR 모드는 총 1가지로 5D Mark III와는 차이를 보인다. 자동 이미지 정렬은 손으로 들고 촬영할 때 설정으로, 삼각대 고정 시엔 해제로 두면 된다.
HDR 촬영
표준 노출+노출 부족+노출 과다 3장의 이미지가 병합된 결과물
명암 대비가 큰 장면에서 적용하면 그 효과를 제대로 느낄 수 있다.
명부와 암부가 균형 잡힌 노출로 표현 되기 때문에 풍경 촬영에 적용하면 일반적인 노출 값으로 표현할 수 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11 / Tv: 가변/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 HDR 모드 촬영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3.5 / Tv: 가변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 HDR 모드 촬영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9.0 / Tv: 가변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 HDR 모드 촬영
실루엣 촬영을 하면서도 암부 영역을 조금 더 묘사할 때, 실내 촬영에서 유리 창 너머의 밝은 실외 환경이 표현 되어야 할 때, 태양의 위치에 따라 그림자 진 부분이 너무 시커멓게 표현 될 때 등 다양한 환경에 HDR 모드를 활용하면 명부와 암부의 노출 차이에 의한 아쉬움을 극복할 수 있다.
EOS 6D는 캐논 카메라로 최초로 GPS를 기본 내장하고 있다. 내장된 GPS 유닛을 통해 위성의 신호를 받아 촬영한 결과물에 위치 정보를 부가한다. 6D를 구입하면 기본 동봉 되어 있는 유틸리티 CD를 설치하면 'MAP Utility'가 설치되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촬영 동안 위치를 이동한 부분의 기록을 볼 수 있다.
메뉴의 GPS 설정을 통해 내장 GPS를 선택하면 GPS 기능이 활성화 된다.
활성 후 위치 업데이트 시기는 초 단위부터, 분까지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GPS 정보 표시'를 통해 카메라 내에서 GPS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GPS 정보가 추가 되지 않은 사진은 표시 되지 않으며, GPS 정보가 추가된 사진은 표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GPS 정보가 추가된 사진을 확인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GPS 기능을 활성화하고 촬영한 사진을 'Map Utility'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EOS 6D를 구입하면 동봉되어 있는 유틸리티 CD만 설치하면 된다.
프로그램 실행 후 상단 메뉴 '파일' 클릭->하단 메뉴 '이미지 추가'를 누르고 GPS 정보가 추가된 사진을 불러오면 된다. GPS 정보가 추가된 사진은 위와 같이 지도 보기를 통해 해당 위치를 지도 확대 및 축소를 통해 해당 국가와 지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GPS 로그 파일을 촬영 메모리에 저장하면 이동 경로까지 한눈에 볼 수 있다.GPS 로그 파일은 'GPS 자동 기록' 메뉴에서 '카드로 로그 데이터 전송'을 통하여 촬영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GPS 정보가 있는 사진과 없는 사진의 차이는 정보 표시에서 보여진다.
건물들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서는 GPS 위성이 건물에 가리는 경우에는 신호 수신이 힘들다.
GPS는 카메라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활성화 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불 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막기 위해서는 사용 하지 않을 때는 꺼두는 편이 낫다.
캐논 DSLR 카메라 최초로 Wi-Fi 기능을 기본 탑재한 모델이 EOS 6D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SNS를 애용하고 있고, 무선 랜을 통해 사진을 주고 받는 부분이 자연스러워진 흐름에서 Wi-Fi 기능을 기본 탑재한 6D의 변화가 반갑다.
DSLR 카메라에서 외부 액세서리의 지원 없이 사진을 다른 사람에게 무선으로 보여주고, 유선, 혹은 무선 릴리즈를 대체할 수단으로 스마트 폰을 이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럼 각 항목별 설정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자.
Wi-Fi 기능을 적용 시 동영상 촬영이 불가능하며, USB 연결을 통한 PC와 연결할 수 없다. 카메라 간의 이미지 전송은 6D+6D의 구성 혹은 6D와 외장 Wi-Fi 액세서리를 설치한 EOS DSLR 카메라 간의 이미지 전송을 담당하는 기능이다.
Wi-Fi 기능이 설정이 되면 상단 액정 창에 활성화 된다.
EOS 6D의 가장 핵심이 되는 Wi-Fi 기능은 '스마트 폰에 접속' 하여 리모트 콘트롤이 가능한 부분이다. 접속 방법의 '카메라 액세스 포인트 모드'는 Wi-Fi 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6D를 액세스 포인트로 활용하는 기능으로 야외에서 스마트 폰을 무선 리모콘으로 사용할 때 유용하다. 아래의 Infrastructure 모드는 실내에서 사용 중인 Wi-Fi(무선 랜)를 액세스 포인트로 잡는 차이가 있다.
위 캡쳐 이미지대로 진행을 하면 된다. 별 다른 어려움 없이 설정이 가능하다.
EOS 6D에서 위 캡쳐 이미지로 진행될 때 스마트 폰에서는 카메라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IOS를 사용할 때 앱 스토어를 통해 'EOS Remote' 어플을 받아야 한다. 앱 스토어에서 EOS Remote로 검색이 안될 때는 'canon'으로 검색 후 찾으면 된다. 해당 어플을 설치한 후 실행하면 하단에 '카메라 연결'이라는 버튼이 있다. 터치한 후 기다리면 페어링을 통해 6D를 감지하고 목록에 표시된다. 표시된 목록에서 페어링을 누르면 완료되며, 바로 원격 촬영을 통해 라이브 뷰 이미지를 스마트 폰에 실시간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EOS 6D의 액정 화면이 실시간으로 스마트 폰에 표시가 되며, 우측 상단에 셔터 버튼 밑에 반 셔터 버튼은 기본적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설정 메뉴의 'AF 버튼 표시'를 활성화 하면 스마트 폰으로 반 셔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촬영 화면 영역을 더블 클릭하면 이미지가 확대된다.
'카메라 이미지 보기'를 눌러 보면 현재 EOS 6D에 삽입된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이 표시된다. 상단 메뉴의 보기 방식을 바꿔 보면 촬영 정보 값이 표시되며, 스마트 폰으로 저장할 이미지를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저장이 완료된다. 컴퓨터에 메모리를 옮기거나, 6D에 직접 USB 선을 연결해서 EOS 유틸리티를 이용할 필요 없이 빠르게 스마트 폰으로 옮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OS 6D의 내장 Wi-Fi 기능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스마트 폰을 무선 리모콘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외부 액세서리의 도움 없이 할 수 있는 기능으로 6D의 가장 큰 장점이다.
기존 캐논 DSLR 카메라는 USB 선으로 컴퓨터와 직접 연결해야 EOS 유틸리티를 사용할 수 있지만, EOS 6D의 Wi-Fi 기능을 활용하면 직접 연결 없이 무선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현재 집에서 사용 중인 무선 랜을 선택 후 페이링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마무리가 된다.
EOS 6D를 구입하면 기본 동봉 되어 있는 유틸리티 CD의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면 제공되는 WFT 페어링 소프트웨어가 6D를 자동 인식한다.
자동 인식된 EOS 6D를 접속만 해주면 자동으로 EOS 유틸리티가 실행된다.
실행 후 '이미지 선택 및 다운로드'를 눌러 보면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을 실시간으로 확인 및 다운로드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설정/원격 촬영'을 실행하면 카메라 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원격으로 재설정 및 촬영이 가능하다.
'웹 서비스로 업로드' 기능은 처음 실행하면 해당 안내 문구가 뜬다. 웹 서비스는 '캐논의 이미지 게이트웨이'를 의미 함으로, 우선 가입 절차부터 알아보자.
위 URL로 접속하면 캐논 이미지 게이트웨이 사이트가 접속된다. 접속 후 '서비스 가입'을 클릭.
아이디로 사용할 이메일 주소를 입력 하고 사용 중인 카메라 기종의 시리얼 번호를 입력한다.
해당 과정을 마치면 등록한 이메일로 등록 완료를 돕는 링크 주소가 발송된다.
첨부된 링크 패이지를 클릭.
성함과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를 작성 후 등록 완료 버튼을 누르면 모든 과정이 끝난다.
캐논 이미지 게이트웨이는 캐논 카메라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이미지 서버 개념의 공간이다. 컴퓨터에서 직접 사진을 저장할 수 있으며, EOS 6D는 Wi-Fi 기능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을 실시간으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일단 '웹 서비스로 업로드' 하는 기능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EOS 유틸리티를 실행한다.
Wi-Fi로 EOS 유틸리티 접속하는 기능으로 EOS 6D를 연결시켜 주면 이전과 동일하게 활성화 되는 기능들이 보인다. 최 하단의 '웹 서비스 설정'을 클릭해보자. 자동으로 캐논 이미지 게이트웨이 로그인 창이 뜬다. 앞서 가입해놓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해보자.
웹 서비스 설정 창이 활성화 되고 우측의 '웹 서비스' 란에 캐논 이미지 게이트웨이가 표시 되어 있다. 우측 하단의 웹 서비스 편집을 클릭해 보자.
클릭하면 웹 서비스 설정을 편집하는 창이 뜬다. 아래에 보면 페이스 북, 트위터 등이 보이며, 웹 서비스로 등록할 항목을 체크해주면 된다. 임시로 페이스 북을 등록해보자.
페이스 북을 웹 서비스로 링크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아래의 설정 항목을 보고 목적에 맞게 체크만 해주면 된다.
캐논 이미지 게이트웨이4라는 페이지를 페이스 북에 연동 시켜줘야 한다. 페이스 북에 로그인 후 '허가'를 클릭해주면 모든 설정이 끝난다.
최종적으로 모든 설정을 확인하고 설정을 클릭해 마무리 해보자.
기존에는 캐논 이미지 게이트웨이만 설정 체크 표시가 있었지만, 페이스 북 설정을 통해 페이스 북의 설정 체크도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웹 서비스 설정으로 돌아가 보면 우측에 페이스 북이 추가 되어 보여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캐논 이미지 게이트웨이 페이지의 우측 상단에 '카메라 연결 정보'를 클릭.
사용 중인 EOS 6D가 잘 등록되었는 지 확인해보자. 등록된 장치로 표시 되어야 정상적으로 완료됐다고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메일 까지 웹 서비스로 등록한(등록 방법은 페이스 북과 동일) 상태에서 카메라 쪽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등록한 서비스를 선택 후 중심의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이동된다. 이동 시킨 상태에서 하단에 OK 버튼을 누르면 저장이 완료된다.
모든 과정을 마친 뒤, EOS 6D의 Wi-Fi 기능으로 돌아가서 '웹 서비스 업로드'를 선택하면 앞에서는 보여지지 않았던 웹 서비스 항목이 보여지며, 기존의 Wi-Fi 연결 방식과 마찬가지로 진행하면 해당 서비스로 업로드가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Wi-Fi 기능 중' DLNA 장치에서 보기'를 설정해보자. 액세스 방식은 앞서 설정 내용과 동일하다.
지금 까지 알아본 EOS 6D의 Wi-Fi(무선 랜) 기능은 사진 생활을 좀 더 즐겁게 해줄 수 있는 기능으로, 무선 랜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라면 어디든지 자유롭게 사진을 옮겨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 중인 스마트 폰을 무선 리모컨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점은 해당 기능의 핵심적인 부분이자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EOS 6D의 AI SERVO 모드를 통한 동체 추적 설정은 C.FnII: 자동 초점에서 설정할 수 있다. 설정 항목에 대해 알아보자.
5D Mark III는 1D X와 동일한 AF 시스템을 지원함에 따라 동체 추적을 위한 AF.Config(프리셋)를 지원한다. 6D는 AF 영역 선택 모드가 없는 관계로 해당 설정을 지원하고 있지 않지만, 5D Mark III의 AF.Config 기능을 참고해서 정리한 동체추적을 위한 AI SERVO 설정은 다음과 같다.
Case1- '평범하게 움직이는 피사체'
설정 값은 모두 0으로 일반적인 모든 촬영에 적용하면 된다.
Case2- '장애물을 무시하고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할 때' 추적 감도 설정을 -1로 바꾸면 된다. 추적 감도를 0 보다 –로 설정할수록 추적 중인 대상에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Case3-'움직이는 피사체에 빠르게 AF를 할 때' 추적 감도와 가속/감속 추적 설정 모두 +1로 설정하면 된다. 추적 감도를 +로 설정할수록 대상을 바꿔가며 동체 추적을 할 때 빠르게 전환이 된다. 가속/감속 추적을 +로 설정하게 되면 그만큼 대상의 움직임에 빠르게 대응 가능하다.
Case4-'움직이는 피사체가 빠르게 가속 또는 감속을 하며 속도가 불규칙 할 때' 추적 감도는 0으로 두고 가속/감속 추적 부분만 +1로 바꾸면 된다. 움직이는 대상의 속도 변화에 대응할 때 해당 설정으로 바꾸면 된다.
해당 설정으로 EOS 6D의 AI SERVO 모드를 활용하면 보다 나은 동체 추적을 돕는다.
참고해보자.
EOS 6D의 저휘도 AF 성능은 캐논 DSLR 카메라 중 최고 스펙을 자랑한다.
1D X와 5D Mark III는 최고의 AF 시스템을 지니고 있다. 저휘도 성능 또한 6D가 출시되기 전 까지는 약-2EV로 최고 사양을 자랑했지만, 6D는 그 보다 더 저휘도에 강하다.
무려 약-3EV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6D의 저휘도 성능에 대해 알아보자.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40s / ISO: 3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40mm f/2.8 STM / Av: f/2.8 / Tv: 1/50s / ISO: 3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캐논 DSLR 카메라 모델 중 EOS 6D가 아니라면 초점을 잡기 힘든 상황을 연출해서 촬영했다.
실내에서 불을 끄고 멀리 떨어진 모니터의 빛 만을 이용해 촬영한 사진으로 6D의 중앙 1포인트는 탁월한 저휘도 약-3EV의 AF 성능을 발휘한다.
라이브 뷰 기능 중 '퀵 모드'는 미러를 다운시켜 위상 차 검출 AF를 실시하기 때문에 라이브 뷰 화면이 일시적으로 암전된다. 장점이라면 뷰 파인더 촬영 시와 비슷한 속도로 AF가 이루어지는 점이다. 컨트라스트 AF를 사용하는 라이브 모드와 얼굴 우선 라이브 모드는 퀵 모드에 비해 검출 속도가 느리지만, 5~10배로 확대 후 초점을 정밀하게 잡을 수 있다.
라이브 뷰 촬영 시에 설정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공유한다. 동영상 녹화 크기는 다양한 압축 방식의 적용으로 편집 시에 유용하다. 새롭게 추가된 ALL-I/IPB 방식은 영상 편집 실무 환경의 피드백에 의해 추가된 압축 방식이다. ALL-I는 1 프레임 마다 압축하는 방식으로 파일의 용량은 커지지만, 프레임 간의 연결이 없으므로 컷 편집 시 매우 적절하다.
IPB는 프레임 전, 후를 참고해서 한번에 압축하는 방식으로 파일 용량이 가벼워지는 이점이 있다. 영상 편집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사용자는 감상용으로 부족함이 없다.
EOS 6D는 동영상 촬영 시 타임 코드를 파일에 기록할 수 있다. 타임 코드로 설정하면, 다수의 6D로 같은 장면을 촬영하더라도 영상 편집 작업 시에 효율적이므로, 전문적으로 영상을 다루는 사용자들에게 꼭 필요했던 기능임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녹음 기능은 자동과 수동을 선택할 수 있으며, 캐논 보, 중급기의 DSLR 카메라에만 지원하던 비디오 스냅샷을 통해 컴퓨터를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편집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6D의 비디오 스냅샷을 활용한 영상 3편을 감상해 보자.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II L USM / Av: f/3.5 / Tv: 1/80s / ISO: 100 /
중앙 중점 평가 측광 / 라이브 모드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F-HD 24P ALL-I *비디오 스냅샷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II L USM / Av: f/2.8 / Tv: 1/50s / ISO: 800 /
중앙 중점 평가 측광 / 라이브 모드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F-HD 1920x1080, 24P, ALL-I *비디오 스냅샷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II L USM / Av: f/4.0 / Tv: 1/60s / ISO: 100 /
중앙 중점 평가 측광 / 라이브 모드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F-HD 1920x1080, 24P, ALL-I *비디오 스냅샷
픽쳐 스타일은 채도와 샤프니스, 컨트라스트를 촬영 환경에 맞게 각각의 스타일로 최적화 되어 있다. JPG 위주로 촬영할 때는 카메라 내에서 미리 세팅 후 촬영하면 되고, RAW 파일로 촬영할 때는 DPP를 통해 픽쳐 스타일 종류 및 세팅 값을 자유롭게 변경 할 수 있다. 그럼 EOS 6D의 픽쳐 스타일 샘플을 감상해보자.
EOS 6D로 촬영한 샘플 사진은 RAW+JPG로 촬영 됐으며, 해당 원본 JPG를 리뷰 페이지 크기에 맞게 별도의 후 보정 없이 축소했다.
RAW 파일은 DPP(Digital Photo Proffessional)를 통해 JPG로 변환, 원본 JPG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후 보정을 거치지 않았다. 그럼 6D로 촬영한 사진을 감상해보자.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500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200s / ISO: 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125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흑백(Monochrome)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7.1 / Tv: 1/160s / ISO: 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흑백(Monochrome)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100s / ISO: 8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00s / ISO: 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125s / ISO: 3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125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흑백(Monochrome)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5.6 / Tv: 1/125s / ISO: 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흑백(Monochrome)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7.1 / Tv: 1/100s / ISO: 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흑백(Monochrome)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7.1 / Tv: 1/160s / ISO: 4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흑백(Monochrome)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7.1 / Tv: 1/125s / ISO: 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320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흑백(Monochrome)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5.6 / Tv: 1/50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200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60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5.6 / Tv: 1/160s / ISO: 1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흑백(Monochrome)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60s / ISO: 16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9 / Tv: 1/1600s / ISO: 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25s / ISO: 8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60s / ISO: 10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SCN 모드의 HDR 역광 보정 촬영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60s / ISO: 8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60s / ISO: 3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80s / ISO: 64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100s / ISO: 3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3.5 / Tv: 1/125s / ISO: 3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2.8 / Tv: 1/125s / ISO: 32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Body: EOS 6D / Lens: EF 24-70mm f/2.8L II USM / Av: f/5.6 / Tv: 1/125s / ISO: 6400 / 평가 측광 / ONE SHOT AF / Picture Style: 표준(Standard)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진정한 보급형 풀 프레임 카메라를 기다린 분들을 위해 새롭게 선보이는 EOS 6D. 카메라의 크기와 무게에 타협이 없었던 기존의 풀 프레임 카메라와 달리, 완벽하게 소형, 경량화된 6D는 단순히 보급형 풀 프레임 카메라이기 때문에 작아진 것이 아니다. 균형 잡힌 만듦새로 소형, 경량화된 외관의 장점을 부각 시켰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풀 프레임 이미지 센서를 채용함과 동시에 고성능 DIGIC 5+ 영상엔진을 갖췄다. 캐논 DSLR 카메라 최초로 저휘도 -3EV의 AF를 지원하며, 상급 기종에 추가된 다중 노출 촬영 모드와 HDR 모드를 기본 탑재하고 있어 최신 모델다운 면모를 지니고 있다.
또한 SNS를 활용하는 추세에 따라 Wi-Fi(무선 랜)를 기본 탑재하고, 등산 및 여행 중 트래킹을 하는 분들을 위해 GPS 기능까지 추가됐다. 외부 액세서리를 통해서만 가능했던 기능을 기본 장착한 점은 반가운 변화다. 단,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촬영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성이 부각될 수 있는 최대 셔터스피드 1/8000s의 부재를 꼽을 수 있다. 6D는 최대 셔터스피드 1/4000s를 지원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용도에선 별 다른 무리가 없는 최대 셔터스피드이므로, 다소 아쉬운 정도로 볼 수 있는 성능이다. 본격적으로 풀 프레임 카메라의 대중화를 알리는 6D는 카메라의 금액적 부담이나 부피나 무게의 부담을 확실하게 덜 수 있는 보급형 풀 프레임 카메라로 크롭 바디 사용자들이나 풀 프레임 카메라로의 입문을 고려했던 분들에게 안성맞춤이다. 이상으로 EOS 6D의 리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