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상세
매거진
달 사진 이렇게 찍어보세요! (달사진 잘 찍는법)
공유하기
©huhddss | EOS 5Ds R | EF28-300mm F3.5-5.6L IS USM | F6.3 | 0.6sec | ISO400
많은 사람들이 가장 찍고 싶어 하면서도 가장 찍기 어려워하는 게 바로 달사진이 아닐까요?
여러분, 같은 밤하늘에 있는 달과 별을 담을 때도 추천하는 장비가 다르다는 것을 아시나요?
달의 경우에는 망원렌즈를 사용해야 더욱 멋있게 담을 수 있고,
별은 많은 별을 담아야 예쁘기 때문에 광각렌즈를 주로 사용해야 합니다.
EOS R | RF800mm F11 IS STM | F11 | 1/800sec | ISO1250
오늘 캐논 카메라 블로그에서는 멋있는 달 사진 찍을 수 있도록 보름달 사진 잘 찍는 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그동안 눈으로 보는 것과 달리 달의 형태도 제대로 나오지 않아 실망하셨던 분이라면
필독해서 꼭 달사진 촬영에 성공하시기를 바랄게요!
🌝 달 사진 더 잘 찍는 법
✔ 달 뜨는 시간 체크
✔ 200mm 이상 망원렌즈와 삼각대 준비
✔ 추천하는 값으로 카메라 세팅
1. 달 뜨는 시간 알기
EOS R | RF600mm F11 IS STM + EXTENDER RF2x | F22 | 1/10sec | ISO100
가장 먼저 달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달 뜨는 시간을 알아야 하는데요.
보통 달은 저녁 6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 계속 떠있지만 보름달을 촬영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은 저녁 9시부터 10시 사이입니다.
보다 자세한 지역별 달 뜨는 시간은 관련 사이트에서 확인하시어 이번 정월대보름엔 가장 둥그런 달을 꼭 담으시기 바랍니다.
2. 달 촬영 준비물
눈으로 보는 것만큼 크고 둥그런 보름달의 모습을 보다 잘 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달을 크고 또렷하게 찍을 수 있는 카메라와 렌즈, 그리고 삼각대가 있으면 좋은데요.
멀리 있는 달을 선명하고 크게 찍기 위해서는 200mm 이상의 망원렌즈 사용을 권장하며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야간 촬영을 위해서 삼각대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3. 달 사진을 위한 카메라 세팅하기
📸 한 눈에 보는 카메라 세팅 요약
1. 삼각대 사용시 손떨림 보정 OFF
2. 초점모드는 수동초점(MF) 설정
3. 셀프 타이머 2~3초 설정
©minseo9513 | EOS R | RF24-105mm F4 L IS USM | F4 | 1/125sec | ISO100
만일 달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삼각대를 사용하신다면, 잠시 손떨림 보정을 꺼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손떨림 보정 기능은 삼각대와 함께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미세한 떨림 현상이 발생하여 흔들리는 사진이 찍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초점모드는 수동초점(MF)로 설정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달처럼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때는 수동초점으로 촬영자가 세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셀프 타이머를 2초에서 3초 정도 설정하면 셔터를 누르는 잠깐의 순간에 생길 수 있는 작은 흔들림마저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때, 릴리즈가 있다면 타이머 없이 촬영하시면 되겠죠?
©wntjdrb264 | EOS R5 | RF15-35mm F2.8 L IS USM | F9 | 1/15sec | ISO3200
그럼, 조금 더 디테일하게 보다 자세한 카메라 설정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물론 일반적인 경우이며,
당시의 상황에 따라 조금씩 조절하면서 촬영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카메라 세팅 01.
조리개는 F5.6 - F11
©dbsqud789 | EOS 800D | EF-S 55-250mm F4-5.6 IS
조리개를 개방할수록 달의 표면이 선명하게 표현되지만 일정 셔터스피드 이하로 내릴 수 없어 밝기를 충분히 확보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조리개 값은 F5.6에서 F11 이하로 설정하되 상황에 따라 조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카메라 세팅 02.
셔터스피드는 1/125sec - 1/1245sec
©kej8436 | EOS 5D Mark II | EF100-400mm F4.5-5.6L IS USM | F9.5 | 1/125sec | ISO400
달은 한자리에서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지구 주위를 돌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셔터를 열어둘 수 없는데요.
1초 이상 셔터를 열어 두면 달은 움직이기 때문에 모양이 찌그러질 수 있습니다.
200mm 이상에서도 핸드블러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최소 셔터스피드인 1/125sec 이상으로 설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카메라 세팅 03.
ISO는 최대한 낮추기
EOS R | RF800mm F11 IS STM + EXTENDER RF2x
반달, 초승달, 보름달 등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달의 밝기는 생각보다 굉장히 밝습니다.
따라서 달은 굉장히 밝은 피사체이기 때문에 감도를 낮게 설정해도 셔터스피드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는데요.
노이즈가 없는 깨끗하고 선명한 화질의 달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ISO100 정도로 최대로 낮추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달 사진을 촬영하시면서 셔터스피드를 확보하며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하면 됩니다.
©eromang | EOS 5D Mark II | EF70-200mm F2.8L USM | F6.3 | 1/400sec | ISO100
마지막으로 달사진은 보통 크롭 및 보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RAW 파일로 촬영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또 꼭 컴컴한 밤에 촬영하지 않아도 오후쯤 하늘이 파랗게 변할 때 촬영하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컴컴한 밤 하늘의 달과는 또다른 감성적인 매력이 담겨 있답니다.
4. 삼각대가 없다면?
이미지를 누르시면 제품 정보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요즘 손떨림 보정 기술이 많이 발전하여 삼각대 없이도 선명하고 흔들림 없는 달 사진을 충분히 잘 찍을 수 있는데요.
특히 캐논 풀프레임 미러리스 EOS R6는 카메라 내에 5축 손떨림 보정(IS) 기능을 채용하여
장착한 렌즈 자체에 IS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어떤 카메라/렌즈 조합에서도 광각에서 망원까지 최적화된 결과물을 제공합니다.
특히 내장 IS기능이 있는 RF렌즈를 카메라에 장착하면 카메라와 렌즈의 IS 메커니즘이 함께 작동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어 삼각대 없이도 달 사진을 잘 찍을 수 있습니다.
어떠신가요? 오늘 캐논카메라 블로그에서 알려드린 달사진 촬영노하우로
꼭 마음에 드시는 달사진 촬영에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